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의료계를 향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은 제로베이스에서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사직 전공의가 사직 전 수련한 병원과 전문과목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특례 조치를 통해 복귀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 부총리는 10일 오후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합동브리핑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의료계와 의학교육계에 드리는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전공의를 비롯한 의료계에 대한 비상계엄 포고령 내용은 정부의 방침과는 전혀 다르다”면서 “포고령 내용으로 상처를 받은 전공의 분들과 의료진 분들께 진심어린 유감과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10일 오후 이 부총리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합동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지난달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
“여야의정 협의체 재구성해야”‘전공의 처단’ 포고령 사과 필요
의사 출신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실패한 ‘의료개혁’을 즉각 중단하고, 의료 시스템 붕괴 막아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2025년 의대증원 문제 재논의, 여·야·의·정(여당·야당·의료계·정부) 협의체 재구성, ‘전공의 처단’ 포고령 사과가 필요하다고 했다.
안 의원은 이날 자
2025학년도 의대 정상 운영 위해 모집 중지 등 정원 감축 시행 주장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교수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사퇴를 촉구했다. 의대 교수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등 의료개혁을 의료개악·의료농단으로 규정하고 윤 대통령 당선 이전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끝까지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전의비 교수들과 전공의 등 100여 명은 8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당시 포고령에 ‘전공의 처단’ 문구가 실렸다. 이에 대해 의사들이 격앙된 반응을 보여 정부의 의료개혁이 동력을 잃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의료개혁을 논의하는 사회적 협의체인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했던 의사 관련 단체 3곳이 참여를 중단하면서 의정갈등은 내년까지 지속할 전망이다.
8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 등에
3일 비상계엄 선포 심의를 위해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5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대다수 국무위원이 비상계엄 선포에 반대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그런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답했다. 조 장관에 따르면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