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로 LG에너지솔루션 이재헌 상무와 영도산업 신진오 연구소장을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 원을 수여한
전기차용 타이어에 주로 적용SBS 라인에서 전환 생산 가능한 설비 구축총 생산능력 15만8000t으로 확대
금호석유화학이 고부가 합성고무인 SSBR(솔루션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 병행 생산 설비를 연말까지 구축해 총 생산능력을 연 15만 톤(t) 이상으로 확대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금호석유화학은 아스팔트 개질제 등에 쓰이는 SBS(스타이렌 부타
공조장치(HVAC) 액추에이터 제조기업 우리산업이 테슬라가 전 차종 모든 모델 공급에 이어 새 모델에도 공급하기 위한 입찰 준비를 마쳤다.
테슬라가 내년부터 본격 양산하겠다고 선언한 로보택시에도 공급 가능성이 높은 우리산업은 올해부터 미국 조지아주 공장 본격 가동으로 관세 장벽을 넘을 시스템을 확보했다.
5일 우리산업 관계자는 “현재 테슬라 모델3와
LG화학이 고부가 폴리염화비닐(PVC) 소재로 전기차 충전 케이블 시장을 공략한다.
LG화학은 최근 전기차 충전기 및 전력 케이블 전문기업 이엘일렉트릭과 전기차용 친환경 난연케이블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PVC는 주로 건축자재, 전력 케이블, 바닥재, 창호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범용 플라스틱이다. 결합하는
LFP 배터리 중저가 전기차 '게임 체인저'로BYD, 성능 개선한 자체 LFP 배터리 탑재K배터리도 양산 앞둬…연말 LG엔솔 공급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의 한국 진출이 임박했다. 국내 첫 출시 차량은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토 3'로, 환경부 인증을 앞뒀다.
아토 3의 최대 강점은 단연코 가격이다. 아토 3의 예상 출시
평판디스플레이(FPD) 핵심장비 기업 아바코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배터리 제조 장비 개발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수요 증가에 따른 관련 장비 판매량 확대와 이차전지 사업 이후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바코는 전고체용 이차전지 장비 개발이 임박했다.
전고체 배터리
‘내일을 준비하고 미래를 펼치다(Empowering Tomorrow, Displaying the Future)’
파워모듈 등 전자부품 생산기업 솔루엠이 7~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내건 주제다.
친환경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솔루엠은 지속 가능한 내일과 혁신적인
삼성SDI가 세계 최대 정보통신(IT)ㆍ가전 박람회 ‘CES 2025’에서 성능을 높인 각형 배터리와 전고체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제품 등을 선보였다.
삼성SDI는 7~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윈 호텔에 고객 초청 전시회를 마련하고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 전력용 ESS 솔루션 등 최신 제품을 전시했다고 10일 밝혔다.
혁신 설계와
현재 중국이 장악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발간한 'LFP 배터리의 핵심 특허 및 기술과 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국의 LFP 관련 특허는 4695건으로, 전체의 63%를 차지했다.
뒤이어 미국(854건·11%), 한국(726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 업체 SES AI는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CES 2025'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선 로봇 응용 분야를 위한 배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해당 셀에는 SES AI의 인공지능(AI) 솔루션을 통해 발견한 전해질 소재를 적용했다.
SES AI는 이달 18일 열
정부가 내년부터 간이정액환급 대상품목에 건조 김, 가스마스크 등 11개를 신규 지정하고 기존 품목 250여 개의 환급률을 상향 조정하는 등 수출중소기업 관세환급 혜택을 확대한다.
기획재정부와 관세청은 27일 수출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2025년도 간이정액환급 대상품목'을 전년대비 32개 증가한 4574개로 확대하고 내년 1월 이후 수출신고가 수리되는 물
희귀광물 리튬 대신 풍부한 탄산나트륨 사용미국, 전 세계 매장량 92%…자연 발생으로 생산비 저렴中 광물 통제 등 자원 무기화 시도 무력화“안보 위해 나트륨 배터리 개발 우선해야”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미·중 기술 전쟁의 게임 체인저로 떠오르고 있다. 리튬 대신 나트륨이온 배터리를 상용화하면 미국과 동맹국이 전 세계적으로 도약하는 에너지 저장 산업에서 완전
◇삼성전기
올해 잘했습니다
4Q24 Preview: IT 수요 부진 영향 지속
2024년 체질 개선 → 2025년 성장 스토리 유효
양승수 메리츠
◇성우
IPO 기업 업데이트: 4680에 거는 기대
전기차용 Topcap Assy 부품 전문 기업
4680 배터리에 쏠리는 관심
윤철환 한국투자
◇미래반도체
수요 개선을 기다리는 구간
낮아진 실적 눈높이,
GM 합작 美 배터리 공장 지분 인수 추진단독 공장으로 고객 다변화 기틀 갖춰각형 배터리 GM과 공동 개발글로벌 업계 최초 3대 폼팩터 구축
LG에너지솔루션이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해 미국 미시간주 랜싱에 짓고 있는 배터리 공장 지분을 모두 인수한다. 단독 공장 운영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를 꾀하는 한편, GM과 각형 배터리를 공동 개발해 제품 포트
트럼프 2기 행정부 앞두고 최종 집행 여부는 미지수
미국 에너지부는 2일(현지시간) 삼성SDI와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법인 스타플러스에너지에 75억4000만 달러(약 10조5000억 원) 규모의 대출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에너지부는 “이 프로젝트는 북미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대폭 늘려 중국 등에 대한 전지 조달 의존도를 줄이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이 배터리 업계와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KIAT의 배터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민 원장은 2일 경상북도 포항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를 방문해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와 간담회를 열었다.
KIAT는 지난해 5월부터 스마트특성화기반구축사업의 하나로 경북테크노파크 내에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를 구축
대동그룹의 파워트레인 전문기업 대동기어는 현대자동차와 현대트랜시스의 전동화 구동 시스템 ‘e-파워트레인’의 핵심 부품인 차세대 하이브리드 차량의 어셈블리 부품과 해외 전기차용 EV 플랫폼 감속기 모듈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3일 밝혔다.
공급 기간은 2025년부터 2036년까지이며 예상 공급 물량액은 총 1조2398억 원으로, 2023년 대동기어 연간 별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각형 배터리 공동 개발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이 각형 개발을 공식화함에 따라 전 세계 배터리 업체 중 파우치형ㆍ원통형ㆍ각형 등 모든 폼팩터(형태) 포트폴리오를 갖춘 유일한 업체가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1위 자동차 업체 GM과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