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필립 골드버그(Philip Goldberg) 주한미국대사, 제이비어 브런슨(Xavier Brunson) 주한미군사령관을 공동 접견해 한·미 동맹, 미국 신행정부 출범 등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최 권한대행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굳건한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우리 외교·안보 기조를 흔들림 없
韓 “한국 정부 엄중한 상황”브런슨 “맡은 역할 이행할 것”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과 통화했다고 총리실이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브런슨 사령관의 취임을 축하하며 "지난 70년 동안 유지된 한미동맹이 더욱 공고해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이어 "우리 정부가 엄중한 상황 속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5일 폴 라캐머라(Paul J. LaCamera) 주한미군사령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확고한 한미연합방위태세 확립과 한미동맹을 위한 소통 강화를 주문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라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과 전화 통화를 통해 한미동맹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주한미군들의 노고와 주한미군사령관의 책임 있는
미국 국방부는 3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주한미군의 대비 태세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팻 라이더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주한미군 태세 변화 여부에 대해 질문에 “내가 아는 한 변화는 없다”고 답했다.
이어 라이더 대변인은 북한이 이 상황을 이용할 조짐이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상
한미 양국의 합참의장이 18일 화상으로 열린 제49차 한미 군사위원회 회의(MCM)에서 북한 도발 행위와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대가 한반도와 세계 긴장을 고조한다고 평가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김명수 합참의장(해군 대장)과 찰스 브라운 미 합참의장(공군 대장)이 MCM에서 동맹 현안과 안보 정세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양국 합참
브런슨, 베트남전 참전 아버지 따라 군 입대역대 2번째 흑인 주한미군 사령관딸 2명, 한국서 영어 가르치고 있어
11월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한미군을 지휘하는 한미 연합사령관이 교체된다.
미국 국방부는 1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제이비어 T. 브런슨 육군 중장을 한미 연합사령관으로 지명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최종 임명까지 상원 인준 필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한미군을 지휘하는 한미 연합사령관이 교체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1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제이비어 T. 브런슨 육군 중장을 한미 연합사령관으로 지명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브런슨 중장의 대장 진급도 재가했다. 연합사령
윤석열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를 방문해 "어느 때보다 확고한 연합방위 태세가 긴요하며 이를 위한 인태사령부의 역할은 막중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에 위치한 인도·태평양사령부(인태사)에서 사무엘 파파로 사령관과 만나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와 지속적인 도발이 한반도와 역내 안보를 해치고
윤석열 대통령 부부는 8일(현지시간) 오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태평양국립묘지를 참배했다.
1949년에 조성된 태평양국립묘지는 제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전쟁 참전용사들이 안장된 장소이자, 한국전 참전용사 1만 여명의 유해가 안장돼 한미동맹 상징으로서의 의미가 다. 사발모양처럼 움푹 들어간 지형을 따 ‘펀치볼’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신군부 행동 묵인 논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을 맡았던 존 위컴 주니어 전 미국 육군참모총장이 최근 별세했다.
19일 연합뉴스는 미국 부고 전문 사이트인 레거시닷컴을 인용해 위컴 전 총장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오로밸리에서 향년 95세의 나
인태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 의회 출석해 소견 밝혀“중국, 2차대전 이후 최대 규모로 군사력 증강”“주한미군 2만8500명에 대한 지속 투자 필요”북한, 외화수입 절반 해킹으로 얻어
미군 사령관들이 하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에 대해 강도 높게 경고했다. 특히 중국과 한반도 긴장 수위를 놓고 열변을 토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 찰스 브라운 미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 한미안보협의회의(SCM,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미국 측 대표단과 만나 격려하고, 국제 안보 정세와 한반도 안보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 김승겸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 우리 측 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한 주한미군 이등병 트래비스 킹이 현재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그의 가족들은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했다.
27일(현지시간) 킹의 외삼촌인 마이론 게이츠는 미NBC뉴스 인터뷰에서 “그가 미국을 위해 싸우기 위해 군에 갔을 때 미국은 그를 위해, 그가 집으로 올 수 있게 싸워야 한다”고 촉구했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방미 나흘째인 27일(현지시간) 미 국방부 청사(펜타곤)를 방문해 미군 수뇌부로부터 브리핑을 받았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수도 워싱턴 DC 외곽에 있는 펜타곤을 방문했다. 펜타곤은 납작한 5각형 건물로 미국의 군사력과 패권을 상징하는 심장부 격이다.
펜타곤 정문 앞에는 육·해·공 미군 의장대가 도열했고, 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열병식을 하루 앞둔 회의를 열어 ‘전쟁준비 태세 완비’를 주문했다. 새해 처음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서다.
7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4차 확대회의를 주재해 새해 주요 군사 사안을 논의해 인민군 훈련 확대 강화와 기구편제적 대책에 군대 내무규정 개정 등
윤석열 대통령은 31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방한 중인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을 접견하고 한반도 안보상황과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방안, 한미일 안보협력 등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 위협이 나날이 고도화되고 있다”며 “강력한 한미 확정억제가 도출되도록 한미 간 협의를 진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합참, 9일 오전 2시께 SRBM 2발 발사 노동당 77주년 창건일 하루 앞둔 도발올해 첫 심야 발사…보름 사이 7번째
북한이 9일 이른 새벽에 동해 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2발을 발사했다.
노동당 창건 77주년 창건일을 하루 앞두고 심야에 도발한 것.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호가 참가한 해상 연합기동훈련이 실시된 데 대한
7월 2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정전협정 69주년 연설을 통해 남북관계·대남정책과 관련된 공식입장을 밝혔다. 6·25 전쟁을 반제국주의 조국해방전쟁으로 규정하고 있는 북한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80여 일 만에 침묵을 깨고, 그것도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대남 비난에 작심하고 나선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살펴봐야 할 것은 현재 북한의 정세이다. 이번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