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의 '밥상머리 민심'에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밥상여론을 누가 선점하느냐에 따라 향후 정국과 4월 재보궐선거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설 밥상에서는 담뱃세 인상, 연말정산 논란, 건강보험료 체계 개편 등 3연타로 불거진 '증세 문제'가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다. 여야 모두 이번 설을 맞아 '민생 보듬기'에
박근혜 대통령이 9일 대선공약인 ‘증세 없는 복지’를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자, 여당에서마저 엇갈린 반응이 나왔다.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박 대통령 발언에 공감을 표한 반면, 비박(비박근혜계)계에선 이미 시작된 증세·복지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야당은 “정부정책을 믿을 수 없다”면서 경제정책 기조 전환을 거듭 촉구했다.
새누리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최근 정치권의 증세 공론화 작업에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경제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고 세수가 부족하니까 국민에게 세금을 더 걷어야 된다면 그것이 우리 정치 쪽에서, 국민에게 할 수 있는 소리냐”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과연 국민에게 부담을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증세 논란과 관련 “큰 틀에서 지하경제 양성화나 지출 구조조정으로 최대한 노력하고, 만약 안 된다면 국민적 컨센서스(합의)를 얻어서 (증세를) 하겠다는 것이 정부와 청와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터키에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을 위한 출국길에 오르기 전 기자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