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가 연간 적자를 이어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손실 1384억 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67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6% 감소했다.
회사는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등으로 적자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송도R&PD센터 신축 및 안동 L하우스 증축, 폐렴구균 백신
SK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에 이어 미국에서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의 임상 3상을 진행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노피와 공동 개발하는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3상 임상시험계획(IND)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잇따라 승인됐다고 17일 밝혔다. 지난달 호주에서 첫 투약이 시작된 GB
△셀트리온, 앱토즈마주(악템라주 바이오시밀러) 국내 식약처 품목 허가 획득
△대웅제약, 859억 규모 펙수클루 브라질 수출 공급계약 해지
△SK바이오사이언스, 사노피와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공동개발 및 상업화 수정 계약 체결
△SNT에너지, 美 베크텔에너지 대상 719억 규모 에어쿨러 공급 계약
△포스코인터내셔널,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주주환원율 50%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는 23일 사노피(Sanofi)와 현재 상용화된 제품보다 더 넓은 예방효과를 제공할 영·유아 및 소아용과 성인용 차세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기존 체결된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양사의 협력 범위를 확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와 전 세계 폐렴구균 백신 시장의 지형을 바꿀 신규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사노피는 현재 상용화된 제품보다 더 넓은 예방효과를 제공할 영·유아 및 소아용과 성인용 차세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기존 체결된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HK이노엔,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종합 ‘A+’ 획득
HK이노엔은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4년도 국내기업 ESG평가등급’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했다고 지난달 28일 밝혔다. 제약바이오기업 중 지주회사를 제외하고 A+등급을 획득한 회사는 HK이노엔이 유일하다.
지난해 첫 KCGS 평가에서 종합 A등급을 획득한 HK이노엔은 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노피와 공동 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임상 3상 시험 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한국을 포함해 진행될 다국가 임상 3상은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유아, 어린이 및 청소년 8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GBP410의 최대 4회 접종(기초접종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위탁생산 글로벌 Top 10 수준의 독일 기업에 대한 인수 절차를 마쳤다. 이번 통합으로 연결 매출이 상승했고 생산 인프라는 미국과 유럽으로 확장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두 회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5년 안에 매출 1조 원 시대를 연다는 계획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6월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
제이엘케이, 전립선암 진단 AI 솔루션 FDA 승인
제이엘케이는 인공지능(AI) 전립선암 진단 솔루션 ‘메디허브 프로스테이트(MEDIHUB Prostate)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 승인을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제품은 AI로 다중 매개변수 전립선 MRI를 복합적으로 분석해 전립선특이항원(PSA) 밀도와 바이오마커(생체지표)인 P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사노피는 공동 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사노피 과제명 ‘SP0202’)의 임상 3상 시험 계획(IND)을 호주 인체연구 윤리위원회(HREC)로부터 최종 승인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GBP410 다국가 임상 3상 계획의 첫 번째 승인으로 미국·유럽·한국·온두라스 등에서도 3상 IND에 대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약 44만 도즈를 태국 파트너사인 바이오젠텍에 공급하기 위해 안동 L하우스에서 출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하는 백신은 WHO(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24시즌 남반구 유행 예상 독감 균주다. 스카이셀플루의 남반구 향(向)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바탕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향후 동남
휴젤,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 美 FDA 품목허가 획득
휴젤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국내 제품명 ‘보툴렉스)’ 50유닛(Unit)과 100유닛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휴젤은 글로벌 3대 톡신 시장인 미국·중국·유럽에 모두 진출한 국내 최초 및 유일한 기업이자 전 세계 3번째 기업
SK바이오사이언스가 자체 보유한 백신 공장 증축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준비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선진 규제기관이 기준으로 삼는 cGMP(미국의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수준의 생산 시설을 빠르게 확보한다는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경북 안동에 있는 백신 공장 ‘안동L하우스’에 신규 설비를 확보코자 증축 공사에 착수한다고 7일 밝혔
SK바이오사이언스는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경북 안동에 있는 자체 백신 생산 시설인 ‘안동 L하우스’의 증축을 의결하고, 증축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이사회를 통해 결정된 투자 금액에 사노피의 공동투자 금액을 합해 ‘안동 L하우스’에 약 4200㎡(약 1300평) 규모의 신규 생산 시설을 증축하기로 했다.
이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가 백신∙바이오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향후 5년간 2조4000억원을 투자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를 위한 세부전략으로 △해외사업 확대 △백신사업 강화 △신규 플랫폼 확보 △엔데믹(Endemic) 대응 포트폴리오 및 인프라 확장 등을 제시했다. 특히 R&D 영역에서만 1조2000억원을 투입할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바이오 분야의 글로벌 톱티어(Top-tier)로 도약하기 위해 향후 5년간 2조4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28일 밝혔다. 연구개발(R&D) 영역에 1조2000억 원, 시설 설비·인수합병(M&A) 등에 1조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며 “
국산 1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미래 성장 동력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기업으로 코로나19 백신을 통한 성장은 한계가 분명한 만큼 앞으로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올해 연간 실적 추정치(컨센서스)는 매출액 7787억 원, 영업이익 36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학 및 학술 담당부서를 신설하고, 담당 임원으로 한국화이자 출신의 김혜영 MD(Medical Director)를 영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신설한 메디컬 어페어(Medical Affair)실은 R&D 프로젝트에 대한 의학적 방향성을 수립하고 학술적 관점에서 의약품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는 한편, 의약품의 축
SK바이오사이언스는 23일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의 수출을 시작하며 중남미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월 UN산하 국제기구인 범미보건기구(pan america health organization, PAHO)의 3127만달러(약 374억원) 규모 입찰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PAHO는 중남미 지역의 수두 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자체 개발 수두 백신인 ‘스카이바리셀라’가 세계 최대 국제조달시장을 통해 중남미 국가에 진출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UN산하 국제기구인 PAHO(Pan America Health Organization, 범미보건기구)로부터 사전 통보받은 3127만 달러(약 374억 원) 규모의 수두 백신 중 초도 물량을 첫 수출했다고 23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