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탄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가장 강력한 경제정책"이라며 "정부는 이런 각오로 대외 여건 변화와 공급망 교란에 맞서겠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4차 공급망안정화위원회에서 "미국 신정부의 동맹도 예외 없는 관세부과와 중국의 핵심광물에 대한 수출통제 강화
영풍·MBK파트너스는 24일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경영권 분쟁 이후 약 1년간 미 정치권 로비자금만 100만 달러를 썼다고 주장했다. 고려아연과 경영권 분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최 회장이 고려아연 회사 돈으로 미국 정치권에까지 손을 뻗쳤다는 것이다.
영풍은 이날 미국 로비활동공개(Lobbying Disclosure Act, LDA) 웹사이트를 인용
현대차증권은 14일 삼성E&A에 대해 그린수소 플랜트 시장을 목표로 투자를 지속해서 진행하고 있으며, 장단기 전망이 모두 긍정적이라며 투자 의견을 '매수', 목표 주가를 2만5000원으로 유지했다.
신동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삼성E&A는 그린수소 플랜트 시장을 위해 프로젝트 개발 및 투자(신기술, 벤처기업 등)를 다수 진행 중이며 수전해, 친환경 등
김완섭, 3~5일 프랑스 파리行…OECD 등 고위급 면담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가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 고위급 인사 면담을 마치고 "이번 면담을 계기로 기후·환경 분야 주요 국제기구와의 협력망을 강화하고 발굴된 협력 사업을 적극 추진해 내실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6일 환경부에 따르면
한국남부발전이 공기업 최초로 미국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 진출한다.
남부발전은 지난달 27일 미국 텍사스주에서 추진 중인 200MWh(메가와트시)급 대용량 BESS(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 사업을 위한 투자구도를 확정하고, 주주사간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남부발전이 미국 제3호 사업으로 추진하는 이번 루틸 BESS 사업은 공기업 최초로 미국 대용량
“가장 수익성 좋은 사업으로 돌아간다”석유·가스 생산량 25% 삭감 약속 철회2020년 가장 대담한 탈탄소 정책 제시에너지 안보 부상·주가 부진 등에 돌아서
글로벌 에너지 기업 영국 BP가 청정에너지 투자를 줄이는 대신 석유와 가스 등 화석연료로 돌아가겠다고 선언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머리 오친클로스 BP 최고경영자(CEO)
BS한양은 ‘묘도(猫島) 에코에너지 허브’ 조성 속도를 높여 LNG 터미널에 이어 청정에너지 사업 밸류체인 구축에 나서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BS한양은 지난해 6월 전라남도의 기회발전특구 사업으로 지정된 여수 ‘묘도 에코 에너지 허브’에서 LNG 터미널을 기반으로 한 청정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LNG 터미널'은 연간 300만
인도 “상호 이익 되는 협상 진전에 초점”영국 “노동당 집권 후 최우선 순위”1년여 만에 재개된 협상...무역 숨통 틔울지 주목
영국과 인도가 약 1년 만에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를 재개했다. 트럼프발(發) 관세 폭풍이 휘몰아치면서 양국의 FTA 협상이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됐다고 24일(현지시간) BBC방송은 평가했다.
조나단 레이놀즈
한국수력원자력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세계적으로 실효성을 인정받았다.
한수원은 세계적인 마케팅 전문 기관인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LACP·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s Professionals)이 주관하는 ‘2023/24 LACP 비전 어워드’에서 금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LACP 비전 어워즈는 전 세계 글로벌
튀르키예와 13년 만에 정부 차원 원전 대화 재개…APR1400 4기 건설 사업제안서 제출사우디와는 대형원전 건설·전력망 확충·청정수소 논의
체코 원전 건설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으로 날개를 단 'K-원전'이 튀르키예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2·제3의 원전 잭팟을 터뜨리기 위해 에너지 관련 고위급 인사의 만남을 진행한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수출입은행과 사업타당성조사 추진․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대규모 청정암모니아 생산‧도입으로 무탄소 에너지 전환 선도
한국남부발전이 무탄소에너지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추진 중인 '호주 중서부 청정암모니아 개발 사업' 타당성 조사에 들어서며 본격적인 사업의 시작을 알렸다.
남부발전은 17일 한국수출입은행(이하 수은)과 '호주 중서부 청정암모니아 개발사업'의
정부가 인공지능(AI) 등 첨단 분야 국제표준 개발에 425억 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글로벌 신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에 지난해 349억 원보다 22% 증액된 425억 원을 투자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미래를 이끌 첨단분야 국제표준 개발 확대를 위해 지난해 5월
무탄소에너지 글로벌 작업반 제1차 회의 개최CFE 이니셔티브 이행 기준 및 참여기업 혜택 등 논의
정부와 CF연합이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 국제기준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9일 산업부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이 주도하는 'CFE 이니셔티브' 글로벌 이행협의체인 'CFE 글로벌 작업반' 제1차 회의가 이달 7일 화상으
미국은 캐나다ㆍ멕시코 관세 유예중국, 선제적으로 대미 관세 발표관세 및 주요 원자재도 수출 제한
4일 아시아 증시는 미국 효과에 급등 출발한 반면, 중국 여파에 상승분을 반납했다.
일본 대표증시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278.28포인트(0.72%) 오른 3만8798.37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토픽스도 0.65% 상승 마감하는 데 그쳤다.
NH-아문디(Amundi)자산운용 2대 주주인 글로벌 자산운용사 아문디는 “지속가능금융 미래를 형성할 트렌드는 책임투자 정상화와 에너지 전환·가속화, 임팩트(impact) 금융상품 수요 증가, 규제에 대한 국제적 조율 필요성”이라고 4일 밝혔다.
NH-아문디자산운용에 따르면 엘로디 로젤 아문디 최고책임투자책임자(RCIO)는 지난달 16일(현지시간) 프
현대건설의 지난해 실적이 지하로 떨어졌다. 공사비 상승으로 국내 주택 부문의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도 있지만 연결 자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의 해외 현장에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한 게 결정적이다.
22일 현대건설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32조6944억 원으로 전년보다 10.3% 증가했다고 밝혔다. 목표인 29조7000억 원을 웃도는 수치로 몸집 성장을
현대건설이 지난해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현대엔지니어링 해외 현장에서 대규모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이 영업적자를 낸 것은 2001년 이후 23년 만이다.
22일 현대건설은 2024년 연간 연결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매출액이 32조 6944억 원으로 전년보다 10.3% 증가했다고 밝혔다. 목표인 29조7000억 원을 뛰어넘은 수치다
전선용 동선 제조기업 KBI메탈이 미국 시장 진출을 검토한다. 전력망 인프라 교체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시설 확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KBI메탈은 전력·전선 등에 사용되는 'JCR ROD' 국내 1위 업체로서 시장 점유율 45%를 확보하고 있다.
21일 KBI메탈 관계자는 "현재 아시아 위주로 수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미국의 전력망
제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 연설“더 이상 이용당하지 않을 것“역사적 행정명령 연이어 발표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의회의사당 중앙홀(로툰다)에서 취임식을 갖고 47대 대통령에 공식 취임했다.
미 CBS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황금시대가 지금 시작된다”며 취임사의 포문을 열었다.
트럼프
에너지 인프라 전문 사모펀드 프로스타캐피탈은 한국사무소를 개소하고 맥쿼리 출신 한승훈 신임 대표를 선임했다고 16일 밝혔다.
2012년 미국 코네티컷주 그리니치에 설립된 프로스타캐피탈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에너지 인프라 투자사다. 투자은행(IB), 사모투자(PE) 경력을 보유한 투자금융 전문가들이 잠재력이 풍부한 미드마켓을 중심으로 투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