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인도, 트럼프 관세 돌풍 속 무역협상 재개

입력 2025-02-25 17: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도 “상호 이익 되는 협상 진전에 초점”
영국 “노동당 집권 후 최우선 순위”
1년여 만에 재개된 협상...무역 숨통 틔울지 주목

▲조나단 레이놀즈 영국 산업통상부 장관과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 있는 국립 공예 박물관과 하스칼라 아카데미를 방문하고 있다. 뉴델리/로이터연합뉴스
▲조나단 레이놀즈 영국 산업통상부 장관과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 있는 국립 공예 박물관과 하스칼라 아카데미를 방문하고 있다. 뉴델리/로이터연합뉴스

영국과 인도가 약 1년 만에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를 재개했다. 트럼프발(發) 관세 폭풍이 휘몰아치면서 양국의 FTA 협상이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됐다고 24일(현지시간) BBC방송은 평가했다.

조나단 레이놀즈 영국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을 만나 이틀간의 FTA 협상에 돌입했다. 양국은 2022년 이후 12차례 이상 협상을 진행해왔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고얄 장관은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에 “이번 회담에서는 협상을 진전시키고 거래가 균형 있고 상호 이익이 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레이놀즈 장관도 협상 타결에 대해 지난해 영국에서 노동당이 집권한 이후 “최우선 순위”라고 강조했다.

현재 양국의 교역 규모는 410억 파운드(약 74조 원) 수준이다. FTA는 이같은 교역에 새로운 국면을 여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BBC는 전망했다. 영국은 협상을 추진함에 따라 2030 회계연도까지 대(對)인도 수출 1조 달러(약 1432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은 FTA 타결로 수혜를 볼 수 있는 품목으로 첨단 제조업과 청정에너지 부문 등을 들었다. 뿐만 아니라 영국 자동차, 스카치‧위스키 등 주류, 금융서비스에 대한 시장 개척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인도의 경우 학생들과 직장인들을 위한 비자 처리 시간 단축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 보험료를 지불하면서도 혜택에서는 제외되는 영국 내 비즈니스 비자에 대해서도 협상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수년간 FTA 협상을 자제해왔던 인도는 여러 국가 또는 경제 블록과 협정을 체결하고, 또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중이다. 지난해에는 유럽 국가 4개국으로 구성된 유럽자유무역협회와 16년간의 협상 끝에 1000억 달러 규모의 FTA를 체결한 바 있다.

올해는 유럽연합(EU)과도 협상을 재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중국서 신종 코로나 발견?…‘코로나19 시절’ 재공포감 [해시태그]
  •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 공사현장 교량 붕괴 사고…사고 원인은?
  • 대학생 근심 덜어주는 ‘국가장학금’, 올해부턴 수혜 대상 1.5배 확대…나도 대상일까? [경제한줌]
  • 단독 LGD 4세대 OLED, 업계 최초 ‘퍼펙트 블랙’ 품질 입증…올해 양산·실적 개선 가속화
  • 글로벌 3위 바이비트, 역대 최대 해킹 …'콜드월렛' 취약성 드러났다
  • 환율·가계부채보다 내수 먼저…한은 기준금리 2.75% 결정
  • 한은, 美 관세정책에 성장률 전망 1.5%로 ‘뚝’…통상갈등 격화시 1.4%도 전망
  • BYD 韓 상륙에 맞불…막 오른 전기차 ‘할인 대전’ [전기차 메기 BYD]
  • 오늘의 상승종목

  • 02.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682,000
    • -9.32%
    • 이더리움
    • 3,436,000
    • -12.48%
    • 비트코인 캐시
    • 401,300
    • -12.01%
    • 리플
    • 3,012
    • -16.73%
    • 솔라나
    • 195,600
    • -15.4%
    • 에이다
    • 919
    • -14.11%
    • 이오스
    • 771
    • -14.14%
    • 트론
    • 330
    • -8.59%
    • 스텔라루멘
    • 394
    • -15.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8,120
    • -7.73%
    • 체인링크
    • 20,700
    • -14.81%
    • 샌드박스
    • 415
    • -14.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