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광복절을 즈음하여 작가회의, 민족문제연구소,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회장 김희선), 실천문학사가 공동으로 문학 분야 친일 인물 42명을 발표했는데 이름 옆의 숫자는 친일 작품으로 판명된 작가의 총 작품 수다. 10편 이상 발표한 문인만 추려본다.
시 분야에는 주요한(43), 김동환(23), 김종한(22), 노천명(14), 모윤숙(1
지금부터 10년 전인 2013년, 이 땅에서 간행된 시집 중 우리 문학사를 빛낸 ‘최고의 시집’을 선정하는 작업을 했다. 시를 연구하는 문학평론가와 대학 국문학과 교수들 110명에게 설문지를 보냈는데 75명이 응답하였다. 1923년에 간행된 김억의 ‘해파리의 노래’ 이후 90년간 간행된 시집 중 최고의 시집 10권을 선정해 달라고 하여 합계를 냈다. 가장
한국 최초 잡지는 무엇일까? 1896년 독립협회가 발행한 ‘대조선독립협회회보’로 보는 시각과, 같은해 대조선인 일본유학생친목회에서 창간한 ‘친목회회보’로 보는 시각이 있다.
1908년 최남선이 창간한 ‘소년’은 종합 잡지의 효시다. 이후 한국 잡지는 당대의 화두와 시대정신을 담아내며 120여 년의 역사를 기록했다.
한국출판학회는 12일 서울 중구 프
“이건 대체 무슨 국이야?”
모양은 익숙한 떡국인데 올라간 재료는 너무나 생경하다? 두부와 소고기가 고명으로 나온 ‘경상도식 떡국’에 눈이 똥그래질 수밖에 없었는데요. 정작 이 떡국을 대접한 이는 “그럼 뭐가 떡국이야?”라는 더 의문스러운 대답을 건넸죠.
설이 되면 ‘나이 한 살’을 우리에게 준다는 떡국 한 그릇. 온 가족이 둘러앉아 먹는 설날 떡국 한
문화체육관광부는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열리는 ‘제54회 잡지의 날’ 기념식에서 잡지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에게 정부포상을 수여한다고 1일 밝혔다.
정부포상 및 표창ㆍ상장 전수 대상은 △옥관문화훈장 1명 △대통령표창 1명 △국무총리표창 1명 △장관표창 10명 △장관상장 1명 등 총 14명이다.
옥관문화훈장은 이기만 월간 플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태어나 올해로 탄생 100주년을 맞은 문인들을 기리는 기념문학제가 열린다. 올해 인물로 시인 구상·김종문·정완영, 소설가 김성한·전광용, 아동문학가 권오순·박홍근, 문학평론가 정태용 등 8명이 선정됐다.
대산문화재단과 한국작가회의는 '전후 휴머니즘의 발견, 자존과 구원'을 대주제로 심포지엄(5월 2일 오전 10시, 광
“복더위로 찌든 날씨에/맑은 계곡을 찾아가서/옷 벗어 나무에 걸고/노래를 부르며/옥같이 맑은 물에/세상의 먼지와 때를 씻음이 어떠리.”
조선 영조 때 ‘해동가요’를 펴낸 김수장의 시조이다. 삼복더위를 피해 시원한 계곡을 찾아 들어가기를 권하고 있다. 모시 적삼을 입은 선비가 탁족(濯足·산간 계곡의 물에 발만 담그고 더위를 쫓는 놀이)을 하면서 시 읊
한국인에게 밥은 특별하다. 온 가족이 밥상에 둘러앉기만 해도 가슴이 따뜻해진다. 밥상에서 세상 이치를 깨달았다는 이들도 여럿이다. 밥상머리 교육의 덕을 본 게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헐레벌떡 먹는 아침밥보다 도란거리며 먹는 저녁밥이 참 좋다. 저녁 밥상에는 저물녁 귀가한 아버지의 가르침도 있었다. “정직하게 살아라”, “돈을 아끼고 저축하는 습관을 들
김명순(金明淳)은 나혜석·김일엽과 함께 근대문학 초기 한국의 문단을 이끌었던 여성 문인이자 번역가이다. 김명순은 1896년 평양에서 갑부 김가산 소실의 딸로 태어나 기독교 계통인 사찰골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 진명여학교, 이화학당을 거쳐 동경여자전문학교에서 수학한다.
1917년 당대 문학청년들의 로망이었던 잡지 ‘청춘’(12호, 최남선 주재)의 현상
일엽 스님으로 알려진 김원주(1896-1971)는 평남 용강군에서 목사 아버지의 맏딸로 태어났다. 14세 때 어머니가 결핵으로 별세하였고, 남동생도 생후 3일 만에 죽었다. 계모를 맞이한 아버지도 얼마 못 가 별세하였다. 살림살이는 어려웠으나, 형제들뿐만 아니라 계모와도 가족애가 두터웠다. 기독교 신자로 구세학교를 거쳐, 윤심덕과 같이 진남포 삼숭보통여학교
강우석 감독이 드디어 스무 번째 영화를 만들었다. 그는 ‘달콤한 신부들’을 시작으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로 감독 입지를 다지더니 ‘투캅스’ ‘공공의 적’으로 흥행 감독의 명성을 쌓고, 드디어 천만 영화 ‘실미도’로 한국 영화의 대표 감독으로 우뚝 섰다.
한데 이번 영화 ‘고산자, 대동여지도’를 앞두고 상당히 긴장된
청춘의 문학
한국문학은 오랫동안 ‘청년문학’의 외관을 띠고 전개되어왔다. 근대 초기에 육당 최남선이 만든 잡지가 ‘소년(少年)’과 ‘청춘(靑春)’이었을 때, 이미 한국문학은 ‘순정(純情)한 소년배(少年輩)’들이 ‘청춘’을 바치는 이야기로 시종할 운명을 가지고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뒤를 이은 ‘창조(創造)’나 ‘폐허(廢墟)’, ‘백조(白
‘조선아 (중략) 이 다음에 나 같은 사람이 나더라도 할 수만 있는 대로 또 학대해보아라 (중략) 이 사나운 곳아, 이 사나운 곳아.’
불꽃 같은 삶을 살았던 한국 근대 최초 여성작가 김명순(1896.1.20~1951.6.22)의 시 ‘유언(遺言)’의 한 구절이다. 김명순은 남성들의 온갖 편견과 조롱, 굴절된 시각 속에서 가난과 정신병에 시달리며 불우한
오늘은 백로(白露). 이 무렵 밤사이 초목에 이슬이 맺힌다. 추수할 때까지 잠시 일손을 쉴 수 있어 시집간 여인이 친정을 찾는 근친(覲親) 또는 귀근(歸覲)을 가는 시기이다. 覲은 ‘뵙다’라는 글자다. 최남선의 ‘백두산근참기(白頭山覲參記)’는 백두산을 찾아뵌 기록이다.
백로에 으레 붙는 말이 갈대를 뜻하는 겸가(蒹葭)다. 시경 진풍(秦風) 겸가에 이런 시
설날이나 추석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라고 한다. 아이들은 설날에 세뱃돈 받아 신 나고 어른들은 세뱃돈 나눠 주며 흥겹다.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이 정조(正朝) 차례와 세찬(歲饌)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이라고 기록돼 있다.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문답’에서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 종교적 사상에서 깨끗한 흰
횡보 염상섭의 삶과 문학을 읽는 시간이 마련된다.
교보문고는 ‘염상섭 문학의 밤’ 행사가 28일 오후 6시 30분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횡보의 상 앞에서 진행된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4월 1일 염상섭의 상(像)을 삼청공원에서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종로 출입구로 이전 설치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다.
‘염상섭 문학의 밤’은 교보문고와 대산문화재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