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제과가 4월부터 일부 초콜릿 및 빙과류 제품의 가격을 10~20% 인상한다고 31일 밝혔다.
빼빼로는 권장소비자가격 기준 1500원에서 1700원으로 오른다. 초코빼빼로는 기존 가격을 유지한다. 빈츠는 2400원에서 2800원, ABC초코쿠키는 1000원에서 1200원, 해바라기와 석기시대는 120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된다.
허쉬 키세스는 200
“이것은 쓰레기다.(This Is Trash.)”
세계적인 스포츠 용품업체 나이키는 지난해 이처럼 파격적인 슬로건을 내세우며 ‘쓰레기’로 만든 스니커즈를 출시했다. 바로 ‘스페이스 히피(Space Hippe)’ 컬렉션이다. 이 스니커즈는 공장과 소비재에서 나온 각종 폐기물, 일명 ‘우주 쓰레기’와 재활용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만들었다. 이 쓰레기 운동화에
롯데제과는 오트밀 브랜드 퀘이커 신제품 ‘믹스-업(Mix-Up)’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믹스-업’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든든함이 오래가는 오트밀과 각종 씨앗류로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을 더한 그래놀라가 함께 들어있다. 단백질로 가득 채운 프로틴볼까지 섞여 있어 먹었을 때 입안 한가득 풍성한 맛과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믹스-업’ 딸기맛과 초
롯데제과의 오트밀 브랜드 퀘이커가 올해 100억 원의 판매액을 돌파했다.
10일 롯데제과는 퀘이커의 올해 1~11월 누적 매출액이 약 11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0%가량 신장하는 등 롯데제과의 브랜드 중 한 해 동안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롯데제과 측은 퀘이커의 인기 비결로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을 고려해 개발됐다는 점을
국내 핫 시리얼 시장이 ‘핫’하다. ‘맛 없는 죽’으로 불리던 오트밀이 한 끼를 배부르고 맛있게 해결할 수 있는 건강간편식(HMR)으로 떠오르면서 국내 핫시리얼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외식 대신 집에서 간단하게 식사를 해결하는 사람이 늘면서 국내 핫시리얼 시장도 덩달아 수혜를 입었다는 분석이다.
16일 업계에 따
롯데제과는 ‘퀘이커 오트그래놀라’의 동남아 누적 수출량이 20만 봉을 넘겼다고 29일 밝혔다.
롯데제과는 2018년부터 글로벌 오트밀 브랜드 퀘이커를 국내에 들여와 생산, 판매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는 11종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모든 제품은 국내 입맛에 맞춰 롯데제과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한국형 퀘이커’다. 롯데제과는 이중 ‘퀘이커 오트그래놀라’
롯데제과는 요리 연구가 백종원과 함께 ‘백종원 오트밀 레시피’를 개발, 이를 적용한 ‘퀘이커 즉석 오트밀 컵’ 2종을 선보였다고 22일 밝혔다.
‘퀘이커 즉석 오트밀 컵’은 롯데제과와 요리 연구가이자 ‘집밥의 아이콘’ 백종원 대표가 ‘한국식 오트밀’을 목표로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롯데제과와 백 대표는 이번 레시피 개발을 위해 ‘오트밀은 밥이다
미국을 뒤흔들고 있는 인종차별 반대 시위로 131년 전통의 브랜드마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1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펩시코 자회사 퀘이커오츠컴퍼니는 ‘앤트 제미마’ 브랜드와 로고를 퇴출시킨다고 밝혔다. 앤트 제미마는 131년 전통의 팬케이크 가루와 시럽 브랜드로 중년 흑인 여성을 로고로 써왔다.
퀘이커는 로고에 담긴 이미지가 인종
롯데제과는 오트밀 브랜드 퀘이커의 광고 모델로 요리연구가이자 방송인 백종원을 발탁했다고 1일 밝혔다.
백종원은 각종 예능과 요리 프로그램 등에 출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음식 관련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은 방송인으로, 음식 분야 최고의 인플루언서다.
롯데제과는 "최근 퀘이커의 가파른 상승세에 불을 지피기 위해 현재 식품 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 윌리엄 펜 명언
“신의 섭리가 없이는 심지어 머리카락 하나도 저절로 빠지지 않는다. 하물며 우리가 함부로 거꾸러지는 일은 없다.”
영국의 신대륙 개척자. 찰스 2세에게 북아메리카의 델라웨어강 서안의 땅에 대한 지배권을 출원하여 허가를 받자 그 땅을 펜실베이니아(펜의 숲이 있는 지방이라는 뜻)라 명명하고, 퀘이커교도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신앙의
롯데제과가 베스트셀러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와 협업해 이색 과자종합선물세트 2종을 한정판으로 선보였다.
롯데제과는 20~30대의 1인가구, 소위 ‘밀레니얼’ 세대의 주요 관심사가 ‘힐링’이라는 점에 주목, ‘힐링’을 주제로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른 에세이(Essay)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와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했다.
롯데제과에서 선보인
롯데제과가 오트밀 브랜드 퀘이커의 광고 모델로 탤런트 최화정을 발탁했다고 17일 밝혔다.
롯데제과는 최화정의 열정적인 모습과 트렌디한 미식가 이미지 등이 주요 고객인 3040 주부층의 브랜드 호응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화정은 실제로 퀘이커 오트밀을 즐겨 먹는 마니아로 알려져, 광고를 통해 진정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더욱 커지고 있다. 단순히 가성비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영양, 원재료 등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제품의 스펙까지 꼼꼼히 챙기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에 외식, 식품 업계는 먹거리에 건강 성분을 강화한 이른바 ‘헬스펙(health+spec)’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피자의 기본이 되는 도우에 천연발효종을 넣어 맛과 소화흡수력
롯데제과가 가을 간식거리로 글로벌 1위 오트 전문 브랜드 ‘퀘이커’를 추천했다. ‘퀘이커’는 롯데제과가 원료를 수입, 국내에서 생산 판매하는 식사 대용 제품이다. 퀘이커는 140년 전통의 오트 전문 제조 기술을 가지고 있다. 오트밀은 칼로리가 낮고 소화가 잘 되며, 원활한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음식이기도 하다.
퀘이커는 1인 가구와 간편식을 즐기길
롯데제과가 ‘폴리페놀 오트볼’과 ‘식이섬유 오트쿠키 2종’을 선보였다.
롯데제과는 오트(귀리)가 건강식품으로 주목받으면서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롯데제과 헬스원의 오트 과자 제품은 올 초 오트바 3종을 출시한 데 이어 3종을 추가, 6종으로 늘었다.
‘폴리페놀 오트볼’은 귀리(오트 퍼프) 및 땅콩
식품·외식 업계의 아침 대용식 제품 경쟁이 뜨겁다.
간편하게 아침 식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 수요가 증가하면서 아침식사 대용식 시장 규모는 2009년 7000억 원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3조 원 규모로 4배 이상 성장했다. 아침대용식 시장이 커지면서 외식업계는 물론 과자와 유제품 기업까지 관련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외식 기업과 식품 기업이 아침대용식
미국 청량음료업체 펩시코를 12년 간 이끌어온 인드라 누이 최고경영자(CEO, 62)가 10월 3일자로 퇴임한다고 미국 언론들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사회 회장직은 2019년까지 초까지 유지할 예정이다. 후임은 글로벌 사업 부문을 이끌어온 러몬 러구아터(54) 사장으로 내정됐다.
누이 CEO는 공격적인 기업 인수·합병(M&A)으로 사업을
롯데제과가 펩시코와 손잡고 농심켈로그와 동서포스트가 양분하고 있는 2300억 원 규모의 국내 시리얼 시장에 진출한다.
롯데제과는 펩시코사의 오트 전문 브랜드 ‘퀘이커’와 손잡고 내달 2일부터 시리얼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롯데제과는 우선 핫시리얼(4종)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시리얼 시장에 진출해 올해만 100억 원대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펩시코와 코카콜라는 글로벌 탄산음료 업계의 오랜 라이벌이다. 하지만 펩시코는 코카콜라의 그늘에 가려 만년 2등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간판 제품인 ‘콜라’에서 압도적으로 뒤진다. 왜일까.
CNN머니는 탄산음료를 향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떨어져도 코카콜라가 콜라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지킨 결과라고 20일(현지시간) 분석했다.
미국 음료시장 조
11년째 펩시코의 수장인 인드라 누이 펩시코 최고경영자(CEO)가 3년 만에 2인자를 임명했다.
2007년부터 펩시코를 이끌어 온 인드라 누이 펩시코 CEO 겸 회장이 임원 중 한 명을 승진시켜 비어 있던 회장 자리를 채울 것이라고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가장 강력한 후보는 펩시코의 유럽 및 아프리카 지사 임원인 라몬 라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