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일인 오늘은 경기 수원시 ‘수원매산A1’(행복주택)의 청약 신청을 받는다.
대구 수성구 ‘범어자이르네’와 충남 아산시 ‘탕정푸르지오센터파크’(C1)는 22일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충북 청주시 ‘청주테크노폴리스하트리움더메트로’(S4)의 정당계약 기간은 20~23일이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일인 오늘은 부산 강서구 ‘부산에코델타시티대방엘리움리버뷰’(31BL) 1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또 인천 연수구 ‘래미안송도역센트리폴’(1BL)과 충북 청주시 ‘청주테크노폴리스하트리움더메트로’(S4), 충남 아산시 ‘탕정푸르지오센터파크’(C1) 등의 당첨자를 발표한다.
1월 둘째 주에는 전국에서 1732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청약 단지(3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1월 둘째 주에는 전국 3개 단지, 총 1732가구(일반분양 886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부산 강서구 ‘부산에코델타시티대방엘리움리버뷰’, 충남 천안시 ‘천안두정역양우내안애퍼스트로’ 등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당첨자 발표(10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3일인 오늘은 서울 동대문구 ‘장안동하트리움’(청년안심주택) 민간임대 청약 신청을 받는다. 이달 7일까지다.
또 충북 청주시 ‘청주테크노폴리스하트리움더메트로’(S4)와 충남 아산시 ‘탕정푸르지오센터파크’(C1) 2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서울 중랑구 ‘더샵퍼스트월드’와 전남 순천시 ‘순천푸르지오더퍼스트’ 등의 당첨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일인 오늘은 충북 청주시 ‘청주테크노폴리스하트리움더메트로’(S4)와 아산시 ‘탕정푸르지오센터파크’(C1)의 1순위 청약 신청을 받는다.
경기 의왕시 ‘의왕월암지구대방디에트르레이크파크’(B2)와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파밀리에엘리프’(AA32) 등의 2순위 청약도 진행한다.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역다채로움’과 충남
전세가율 상승으로 지방에서 내 집 마련에 나서는 주택 수요자가 늘고 있다. 높아진 전세가를 부담할 바에 차라리 집을 구매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판단이 작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은 67.6%로 최근 1년간 매달 상승하며 전년 대비 1.3%p(포인트) 상승했다.
지방의 경우 올해 1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27일인 오늘은 인천 연수구 ‘래미안송도역센트리폴’(1·2BL)과 충남 아산시 ‘탕정푸르지오센터파크’(C1), 천안시 ‘천안두정역양우내안애퍼스트로’가 견본주택을 연다.
서울 중랑구 ‘더샵퍼스트월드’와 전남 순천시 ‘순천푸르지오더퍼스트’가 2순위 청약을 진행한다.
또, 경기 평택시 ‘평택브레인시티수자인’(8BL)의
주택 시장에서 중대형(전용면적 85㎡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목도가 커지고 있다. 1인 가구 등 소규모 가구의 증가로 중대형 아파트의 공급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년~2024년) 중대형 아파트 공급량은 전체 98만6039가구 중 약 11.38%인 11만2224가구에
최근 건축 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분양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수요자들의 선별 청약 양상이 뚜렷한 가운데, 가격 경쟁력을 갖춘 단지가 주목받는 모습이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11월 충북 청주시 일원에 분양한 ‘청주테크노폴리스 힐데스하임 더원’은 1순위 평균 77.0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충청권에서 분양한 단지 중 가장
12월 넷째 주에는 전국에서 2705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청약 단지(6곳)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12월 넷째 주에는 전국 6개 단지 총 2705가구(일반분양 2356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서울 중랑구 ‘더샵퍼스트월드’, 경기 의정부시 ‘의정부역다채로움’, 전남 순천시 ‘순천푸르지오더퍼스트’ 등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당첨자
이달 전국 2만8000여 가구가 분양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에 힘입은 건설업계가 올해 막바지 스퍼트에 나서는 모습이다.
2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에 따르면 이달 전국 12월 분양예정 물량은 40개 단지, 총 2만8070가구(일반분양 1만7358가구)로 조사됐다. 전년 동기(2만9011가구) 대비 3% 적다.
연내
부동산 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 사이의 양극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이달 청약시장에서는 지방 신규 단지에 사용된 1순위 청약 통장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에서도 입지와 상품에 따라 ‘될 곳은 된다’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30일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20일 기준) 수도권에서 5975가구(
올해의 마지막 달인 12월 분양시장에는 약 2만8000가구가 공급된다. 예년과 비교해 적은 물량이라 공급 부족 우려가 짙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청약 열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다음 달 전국에서 33개 단지 2만7711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중 일반분양은 2만1213가구다.
12월 기준으로 2020년
올해 서울을 제외한 지역 분양시장에선 공공택지 선호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합리적 가격을 갖췄고 계획도시로 조성돼 탄탄한 인프라를 기대할 수 있자 수요자가 몰린 것으로 해석된다.
19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10월까지 비서울 지역에 분양한 단지의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 상위 10곳 중 7곳은 공공택지 단지가 차지한 것으
연말 10대 건설사가 가장 많은 분양 물량을 공급하는 곳은 충청남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을 대표하는 아산과 천안 지역에서 대형 건설사들이 대단지를 쏟아대는 ‘브랜드 대전’이 펼쳐져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4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4분기(10~12월) 10대 건설사 물량(컨소시엄 제외) 중 일반분양은 2만4678가구가 공급
지방 주요 지역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이 70%를 웃도는 지역이 속출하고 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제자리걸음을 걷고, 전셋값은 우상향하자 전세가율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가율이 상승하자 주택 실수요자들은 전세 대신 매매를 택하면서 지방 청약자 역시 늘어나는 모양새다.
23일 부동산R114 통계에 따르면
통상 비수기로 불리던 여름 분양시장이 최근 달라진 분위기를 보이며 활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8월 분양시장에서는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물량이 시장에 잇따라 공급돼 이목이 쏠린다.
17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분양시장에는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아파트 총 9개 단지에서 1만1811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으로 시장에 나온다. 이는 올해 대단지 기준
아파트 분양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올여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신도시·공공택지 아파트 7000가구가 공급된다. 수요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은 상황이라 분상제 아파트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 7~8월 전국에 공급되는 신도시·공공택지 분양 물량은 6949가구다. 해당 기간 전국 분양 예정물량
7월에는 4만4000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특히 서울 서초구 신반포15차 재건축 단지인 '래미안 원판테스'를 비롯해 강남3구 분양단지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2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7월에는 전국에서 54개 단지, 총 4만4355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가 분양에 나선다. 올해 월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물량이며, 작년 동기보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상대적으로 심한 지방에서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강해지는 모습이다. 이런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지면서 브랜드 아파트를 향한 수요자들의 발걸음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19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방에서 미달이 속출하는 가운데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한 자릿수 이상을 기록한 지방 단지는 총 31개(13일 기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