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식량안보와 가루쌀 산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쌀 공공비축 매입 물량을 전년보다 5만 톤 늘어난 45만 톤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공공비축미를 출하한 농가는 중간정산금으로 포대(40㎏ 조곡 기준)당 3만 원을 지급을 받게 되며, 친환경쌀의 경우 일반벼 대비 5%포인트(p) 오른 가격으로 정산금을 받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국무회의에서
정부가 올해 공공비축 쌀 40만 톤 매입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2023년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의결하고 공공비축미 40만 톤을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입한다.
올해는 벼 재배면적 감축 협약에 참여한 농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 공공비축미 40만 톤 중 농가가 직접 배정받는 물량을 지난해 2만 톤에서 5만3000
올해 공공비축 포대벼에 대한 매입 검사가 11일부터 시작된다. 시장격리곡 45만 톤은 이달 중 검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1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022년산 공공비축 포대벼 매입 검사를 전국 3500여 개 검사장에서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공공비축 벼는 수확 후 건조·포장한 포대벼와 건조하지 않은 산물벼로 나눠 매입을 한
정부가 올해 매입하는 공공비축 쌀을 지난해보다 10만 톤 늘린다. 쌀 생산이 과잉인 상황에서 공공비축 규모를 늘려 시장격리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다만 올해 생산하는 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수확 전망에 다른 산지 쌀값을 지켜봐야 한다.
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연말까지 올해산 쌀 45만 톤을 공공비축용으로 매입한다고 1일 밝혔다.
앞서 지난달 3
정부가 농가 손실을 줄이기 위해 올해 태풍 피해를 본 벼 수매를 시작한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기존 공공비축 미곡의 등급 외 '잠정 등외규격'을 신설하고 21일부터 11월 30일까지 피해 벼를 사들인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조사 결과 올해 태풍으로 벼 쓰러짐 피해면적은 2만895㏊, 흑·백수 피해는 2만4975㏊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벼 수매를
정부가 공공비축을 위해 올해 재배한 포대벼를 매입하기 위한 검사를 시작한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020년산 공공비축 포대벼 매입 검사를 전국 4000개 검사장에서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공공비축 벼는 포대벼와 산물벼로 매입 검사를 실시한다. 올해 공공비축 총 매입량은 포대벼 34만7000톤, 산물벼 13만9000톤
정부가 올해 여름 연이어 닥친 태풍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농가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 달 19일부터 피해가 발생한 벼를 사들인다.
15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집중호우, 태풍 등 피해 벼 매입을 위해 잠정규격을 신설하고 10월 19일부터 수매 희망 농가의 물량을 매입한다고 밝혔다. 주요 비해로는 벼 쓰러짐, 수발아(아직 베지 않은 곡식의 이삭에서
농림축산식품부가 2020년산 공공비축미 34만 톤과 해외공여용 쌀 1만 톤 등 모두 35만 톤을 매입한다. 매입은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진행한다.
공공비축미는 포대벼(수확 후 건조·포장한 벼) 24만 톤과 함께 농가의 편의를 위해 산물벼(수확 후 건조하지 않은 벼) 10만 톤을 매입한다.
해외공여용 쌀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
농식품부는 2018년산(産) 쌀 35만 톤을 공공비축용으로 매입한다고 18일 밝혔다.
매입 기한은 이달 27일부터 연말(12월 31일)까지다. 농식품부는 27일부터 산물 벼 매입을 시작하며 다음 달부터는 포대 벼도 매입한다. 농식품부는 포장에 드는 농가의 품을 줄기 위해 산물 벼 매입량을 지난해보다 1만 톤 늘린 10만 톤으로 정했다.
매입 가격
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2015년산 쌀 총 39만톤을 매입하기로 했다.
우선 공공비축용 쌀 36만톤을 오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농가로부터 사들일 계획이다.
이 중 수확 후 미곡종합처리장(RPC)이나 건조저장시설(DSC) 등을 통해 매입하는 산물벼는 8만톤, 농가로부터 직접 매입하는 건조벼(포대벼)는 28만톤이다.
공공비축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오는 21일부터 연말까지 2013년산 공공비축용 포대벼 40만3000톤의 매입검사를 한다고 20일 밝혔다.
농관원은 21일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고성연합 미곡종합처리장(RPC)을 시작으로 전국 4132개 검사장에서 매입검사를 시행한다.
대상은 논에서 생산한 논벼이며 안다·아름·보람찬 등 초도수계 쌀품종과 밭벼는 제외된다.
농관원은
농림수산식품부가 올해산 쌀 37만t을 매입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매입되는 쌀은 지난 28일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공공비축미로 매입계획이 확정된 것이다.
공공비축미 37만t은 포대벼 형태로 29만t, 산물벼 형태로 8만t이 매입된다.
매입가격은 포대벼의 경우 10월부터 12월 수확기 산지쌀값(80kg)을 벼값(40kg)으로 환산해 산정하고 산물벼는
농림수산식품부는 공공비축용으로 2010년산과 동일하게 2011년산 쌀 34만톤을 다음달 26일부터 12월31일까지 매입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2011년산 공공비축미 34만톤(정곡) 매입 계획은 오는 30일에 개최되는 국무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공공비축미 34만톤은 물벼 형태로 7만톤, 건조벼 형태로 27만톤을 매입한다.
매입방법으로 포대벼
정부가 지난해 수확된 쌀 가격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비축미 10만톤을 추가로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또 올해 수확량에 대해서는 지난해(40톤)보다 다소 적은 37톤을 매입할 방침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2008년산 쌀 과잉물량 10만톤 매입 방안 및 2009년산 공공비축제 시행계획'을 심의, 의결됐다고 밝혔다.
정부가
올해 생산되는 쌀 가운데 43만t이 공공비축용으로 매입될 예정이다. 매입가격은 작년과 같다.
18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공공비축용 추곡매입 방안을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서 2007년산 공공비축용 벼 매입 물량은 작년의 50만4천t(약 350만석)보다 14% 적은 43만2천t(약 300만석)으로 결정됐다. 이 가운데 31만7천t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