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적자도 50조 돌파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일반정부·공공부문 GDP대비 피용자보수 2년째 역대최대, 방역인력·의료진 채용 영향
일반정부 적자폭이 역대최대치를 경신했다. 공기업까지 합친 공공부문 적자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이후 가장 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발에 따른 위기대응을 위해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정부 적극적 일자리대책과 재난지원금 지급 등도 영향일반정부 총처분가능소득(GNDI) 증가율을 –8.2% ‘역대최저’피용자보수 0.5% 증가한 918조..국민총소득(GNI) 대비 47.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경기침체로 인해 노동소득분배율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가계순저축 증가율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지난해 가계의 순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사상 최저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재산소득과 가계 영업이익이 줄어든 여파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통계 소득계정을 이용해 '가계ㆍ기업ㆍ정부 순처분가능소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가계 순처분가능소득은 1.9% 늘어났다고 10일 밝혔다.
1975년 관
소득주도성장(소주성)의 효과가 나타날 조짐이다. 지난해 가계 소득증가율이 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데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도 늘었기 때문이다. 급여생활자이긴 하지만 피용자보수 비중도 1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처분가능소득(소득)은 972조5921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
경제가 성장하고 소득도 늘었지만 이들 소득 대부분을 기업과 공무원이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봉급생활자들의 소득도 증가했지만 이들 호주머니에 들어간 만큼 늘지는 못했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1730조5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반면 피용자보수는 767조6000억 원으로 전년비 4.4% 늘어
공무원의 피용자보수 증가율이 2년째 전체 급여생활자 증가율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채용 증가율이 민간 채용 증가율보다 떨어진데다 임금상승률 또한 민간 보다 낮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 수를 늘리자고 말하긴 어렵다는 평가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6년 일반정부 피용자보수는 112조9436억원으로 전년(107조62
가계의 살림살이가 더욱 빠듯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은행은 2000년 들어 가계소득이 부진해진 주요 5가지 이유로 경제성장률을 크게 하회하는 1인당 피용자보수 증가율, 자영업자의 영업 부진, 가계빚으로 인한 순이자소득 감소, 세부담 증가,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사회보장 관련 국민부담 확대 등을 꼽았다.
16일 한은이 발표한 ‘가계소득분배율 하락 요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 중 가계에 돌아가는 비중이 2000년대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이와 달리 기업소득의 비중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다른 주요국에 비해서도 격차가 더 가파르게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계소득의 부진은 소비둔화, 가계저축률 하락 등으로 이어져 내수를 통한 성장 동력 확충의 애로 요인으로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