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아백화점은 직영하는 미국 럭셔리 데일리 웨어 브랜드 ‘제임스펄스’가 조용한 럭셔리 트렌드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매출이 가장 높은 매장의 월 평균 매출은 약 2억 원으로 동일 상품군 내에서도 상위권을 기록했다.
제임스펄스는 1996년 미국 LA에서 시작해 기본 티셔츠, 니트, 바지 등 시대를 초월
갤러리아백화점은 28일까지 스웨덴 남성 액세서리 브랜드 ‘하우스 오브 아만다 크리스텐센’(House of Amanda Christensen)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
하우스 오브 아만다 크리스텐센은 모자 전문 브랜드 ‘위겐스’(Wigens)와 액세서리 브랜드 ‘아만다 크리스텐센’(Amanda Christensen)으로 구성됐다. 두 브랜
갤러리아백화점은 설 연휴 기간 다양한 행사와 팝업스토어를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서울 갤러리아 명품관에서는 덴마크 프리미엄 리빙 브랜드 ‘앤트레디션(&Tradition)’ 팝업을 내달 20일까지 운영한다. 앤트레디션은 2010년에 설립된 브랜드로 세계적인 디자이너의 가구와 조명, 인테리어 소품 등을 제안한다. 프리미엄 와인숍 ‘더 비노494’에서는 3
인천에 아쿠아리움 접목 실내 테마파크 조성 예정높은 인수가ㆍ테마파크 경쟁 심화 등은 우려한화 측 “수익성ㆍ지역환원 두마리 토끼 잡을 것”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단체급식과 테마파크 등 신사업 추진에 의욕적이다. 그간 미국 3대 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의 국내 도입 등 식품에 치중했던 포트폴리오를 푸
한화갤러리아백화점이 설 명절을 맞아 다양한 K-디저트 선물세트를 28일까지 판매한다고 19일 밝혔다. 대표 상품으로는 현대 재료로 조합한 골든피스 사슴 약과 △개성주악(한과 일종)에 크림치즈 등 토핑을 넣어 만든 연리희재 개성주악 세트 등이 있다. 지역과의 상생을 위해 원조공주떡집 밤밤수제양갱 등도 준비했다.
지난해 서울 주요 상권과 지방 백화점 간 양극화가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1조 클럽' 12개 점포 거래액 비중이 전체의 절반을 넘으며 '부익부 빈익빈'이 지속했다.
7일 백화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거래액 1조 원을 달성한 점포 수는 신세계와 현대가 각 4개 점, 롯데 3개 점, 갤러리아 1개 점 등 12개였다. 신세계 센텀시티와 대구점
한화 유통·서비스 부문이 대한민국 저출산ㆍ인구감소 해소를 위해 '육아 동행 지원'에 적극 팔을 걷고 나섰다. 그 첫 번째 행보로 육아 동행 지원금을 신설하고 해당 임직원에게 지원금을 전달했다.
6일 한화갤러리아에 따르면 2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자사 임직원 대상 ‘육아 동행 지원금 전달식’을 개최했다. 전달식에는 이달 말 출산을 앞둔 김상희 한화갤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 개막을 앞두고 국내 유통업계 주요 인사 참석 여부가 주목된다. 유통과 IT 기술을 결합해 미래 먹거리 사업을 찾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어 유통업계도 경영진과 실무진 등이 방문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7~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올해 CES가 열린다. 유통업계에서
2025년 ‘푸른 뱀의 해’ 을사년이 밝으며 유통업계 뱀띠 최고경영자(CEO)가 주목받는다. 뱀은 예로부터 재물을 지켜주는 지혜로운 영물로 여겨진다. 높은 물가와 내수 침체 지속이 예상되는 가운데 지혜로운 리더십을 펼칠 필요성이 대두된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1953년생, 1965년생, 1977년생, 1986년생 등의 뱀띠 CEO가 경영 일선에 포
한화 유통·서비스 부문이 대표 사회공헌사업 ‘쉬어가도 괜찮아’ 프로젝트를 통해 중증 환아 가족에 따뜻한 휴식을 선물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만 100가정 이상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화 유통·서비스 부문은 7월 첫 제주 여행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쉬어가도 괜찮아 프로젝트에 참여한 돌봄 가족은 101가정(308명)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쉬어가
한화그룹이 단체급식업체 2위인 '아워홈' 인수에 팔을 걷고 나서면서 딜 성사 가능성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3남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부사장이 인수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면서 자금 조달에 힘을 싣고 있지만 변수도 만만치 않다.
29일 투자은행(IB) 및 유통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아워홈 지분 100% 인수를 목표
갤러리아 광교에 파이브가이즈 내년 3월 오픈유명 음식 팝업 매장도 적극 론칭매출 2억원 찍어…F&B 팝업 중 최대 실적
본업 경쟁력을 잃었다는 비판에 직면한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이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맛집 백화점’을 꺼내 들었다. 겔러리아백화점(갤러리아) 명품관과 광교점을 중심으로 식음료(F&B) 강화 행보에 나서면서 백화점 사업
내년부터 횟수 제한 없이 출산 가정에 1000만원 지급일·가정 양립 부담 큰 젊은 직원 목소리 반영…김동선 부사장이 주도
한화갤러리아와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내년부터 출산 가정에 ‘육아 동행 지원금’ 1000만 원을 지급한다고 2일 밝혔다.
신설된 육아 동행 지원금 제도는 내년 1월부터 시행된다. 대상은 한화 유통·서비스 부문 소속 직원으로 한화푸드테
현대백화점, 국내외 VIP 동시 공략갤러리아 명품관ㆍ롯데 라운지 강화2분기, 상위 20% 가구 소비 더 큰폭↑
경기 불황으로 소비 침체 장기화하자, 백화점업계가 소비력이 큰 VIP(최우수 고객) 집중 전략에 나섰다. VIP만을 위한 차별화 서비스와 명품관 강화 등을 통해 매출을 어떻게든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신세계백화점(신세계)은 19일 공식 애플
롯데 1~3분기 F&B 매출 전년비 30% 신장더현대 서울, ‘런던베이글’ 등 도입 예정‘흑백 요리사’ 등 유명 셰프 협업도 활발
성장세에 제동이 걸린 백화점 업계가 고객들의 발길과 입맛을 잡기 위한 '미식' 콘텐츠를 강화하고 있다. 유명 셰프와 협업하거나 맛집 팝업스토어 등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방식으로 온라인 쇼핑에 익숙해진 고객들을 백화점 매장
서울 갤러리아명품관 웨스트(WEST)에 주요 럭셔리 브랜드가 들어선다.
한화갤러리아는 내년 하반기까지 서울 명품관 리뉴얼을 통해 웨스트의 명품 브랜드를 강화한다고 17일 밝혔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컨템포러리 브랜드 위주로 이스트(EAST)에 비해 상대적으로 명품 브랜드가 적었던 웨스트 공간을 대폭 재단장해 명품관의 아이덴티티를 더욱 확고히 할
한화갤러리아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3분기 매출이 114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기간 영업손실은 19억 원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적자 전환했다. 한화갤러리아는 2분기에도 45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면서 3분기까지 2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점포 부분 리뉴얼로 인한 일부 매장 영업
유통업 대신 외식·로봇에 관심갤러리아백화점 점유율 7.8%→6.5%백화점 빅3 쇼핑몰화 리뉴얼과 대조적 한화갤러리아 “명품관 리뉴얼 중…내년 상반기 마무리”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미래비전총괄이 부사장직에 오른 지 1년이 흘렀지만 본업인 백화점 사업이 갈수록 힘을 잃고 있다. 경쟁사들이 잇달아 쇼핑몰 형태로 혁신에 속도를 내는 것과 대조적이다. 김 부사장의
한국 파이브가이즈가 국내 첫 배달 서비스를 선보인다.
에프지코리아는 내달 1일부터 파이브가이즈 강남과 서울역에서 쿠팡이츠 배달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1일 밝혔다. 파이브가이즈가 배달 서비스에 뛰어드는 건 국내 사업 론칭 이후 처음이다.
배달 서비스는 강남과 서울역 두 곳에서 시행하며 해당 매장 기준 반경 4km 이내까지 주문할 수 있다. 강남은 반포,
국내에서 버거 브랜드를 운영하는 외식업체들이 일본 소비자 입맛 사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이른바 ‘외산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모스버거, 일본 롯데리아 등 자국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국내 외식기업들은 기존 버거 체인들이 선보이고 있는 익숙한 버거 맛 대신 ‘새로운 맛’의 버거를 앞세워 틈새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