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해외건설협회가 공동으로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 선정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해외건설 누적수주 1조 달러 달성을 기념하고 우리 기업들이 해외건설 60년 역사를 통해 세계 각지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한 프로젝트를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이번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 선정을 위해 이날부터 4월 8일까지 국토교통부, 해외건설협회 홈페이지에
국토교통부는 해외건설협회,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와 ‘해외건설 유망국가 심층정보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7일 서울에서 열리는 설명회에는 국토부를 포함해 해외건설 관련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 협회 등 관련 종사자 약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유망국가 심층정보 고도화 사업은 우리 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
삼성전자는 해외건설협회와 '국내 건설기업의 수주경쟁력 강화 및 삼성전자 해외 B2B 사업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프로와 해외건설협회 융복합 K-씨티 플랫폼을 활용해 해외 기업과의 공동 마케팅, 글로벌 B2B 통합쇼룸 방문을 통한 수주 지원, AI B2B 솔루션 적용 인증마크 부여 등에 나선다.
해외건설협회는 2025년 국토교통 ODA 신규사업 6건을 발주했다고 20일 밝혔다. 총 212억 원 규모다.
이번 발주 사업은 중점협력국인 베트남에서의 도시정비 사업(49억 원 규모)과 인도네시아 공간정보 관련 사업(49억9000만 원)이 포함됐다. 이밖에 콜롬비아 지적 관련 사업과 몽골, 캄보디아의 도로·교통 시스템 디지털화 사업, 우크라이나 건설기계
지난해 해외 건설 연간 수주 목표액인 400억 달러 달성이 사실상 무산됐다. 비상 계엄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해 수주에도 부담이 커졌다. 민·관 합동 수주지원단인 '원팀 코리아'의 행보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가신인도 및 외교 라인 회복이 시급하단 목소리가 나온다.
1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2024년 1~11월 국
고물가로 인한 원가 상승과 더불어 고금리로 주택사업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에 대한 우려가 장기화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협단체장들은 신년사를 통해 새로운 성장, 신사업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정부의 정책 지원을 요청하는 의견을 내놨다.
1일 한승구 대한건설협회장은 신년사에서 2025년 건설산업의 새 성장 모멘텀을 찾고 취임 후 제시한 10대 과제
한만희 해외건설협회 회장은 30일 "우리 기업이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 회장은 이날 신년사를 통해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 부담 완화와 금리 인하, 유럽 정부의 회복 노력, 주요 신흥국의 경기 모멘텀 반등에 힘입어 내년도 세계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정부가 해외건설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삼고 수주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올해 한국 건설사들은 예년 대비 나아진 성적표를 받아들었지만 목표 도달은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세계 정세 변화와 정국 혼란으로 인한 환율 급증, 공사비 인상 등이 발목을 잡아서다.
16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국내 건설사는 해외 시
정부가 ‘팀코리아’를 중심으로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로 400억 달러를 내세운 가운데,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 건설업체의 참여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9일 국토연구원이 210개 중소·중견 건설업체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89.0%가 해외시장 진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수주실적이 없는 업체는 ‘인력 부족’과 ‘정보
기획재정부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은 3일 서울 콘래드호텔에서 '2024 글로벌 인프라 수주지원 협력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해외 건설기업, 관계기관 관계자 약 240명이 참석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급변하는 글로벌 인프라 시장 환경과 미국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응해 내년도 해외 건설시장을 전망했다.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속 한국 기업의 중남미 진출 전략을 찾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서울 웨스틴 조선에서 한-중남미협회 및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해외건설협회와 함께 '제28차 한-중남미 비즈니스 포럼'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주한 중남미 17개국 외교 사절단을 비롯해 중남미 관련 정부·기관·기업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부가 ‘원팀 코리아’를 통해 해외 건설시장에서의 ‘K-건설’ 점유율을 높이는 데 주력하는 가운데 민관합작투자사업(PPP) 형태의 수주가 늘고 있다. PPP 방식은 프로젝트에 지분 투자를 하는 공공기관 등은 향후 운영 이익을 얻고, 건설사는 해외 수주 먹거리를 채운다는 점에서 ‘윈윈’ 전략으로 꼽힌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한국해외인프라
국토교통부는 진현환 제1차관이 16일까지 폴란드와 스페인를 방문해 인프라 및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진 차관은 스페인 마드리드를 방문해 ‘한-스페인 제3국 건설시장 공동진출 세미나’에 참석하고, 스페인 교통·지속가능 운송부와 인프라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양국은 2014부터 해외건설협회 및 스페인 건
국토교통부는 해외건설협회와 함께 11월 1일 오후 3시 서울 건설회관에서 ‘2024 해외건설·플랜트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해외건설·플랜트의 날 기념식은 해외건설 첫 수주(태국 파타니-나리티왓 고속도로, 현대건설)를 기념해 1965년부터 격년제로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해외건설이 미래로 도약하는 신성장동력이 되겠습니다’라는 슬로
국토교통부는 국제개발협력사업(ODA)과 연계해 페루, 엘살바도르와 한국형 철도기술 협력을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 ODA란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증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를 뜻한다.
중남미 지역은 노후 인프라 개선과 메트로 등 친환경 프로젝트 발주를 확대하고 있다. 페루, 엘살바도르가 추진하는 철도사업 타당성조사를
올해 해외 건설 수주액 목표 ‘400억 달러’를 위해 뛰고 있는 국토교통부와 건설업계에 ‘노란불’이 켜졌다. 올해 8월까지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액 규모는 최근 2년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해외 수주 지원 총력전에 나섰지만, 상반기 중동지역 대규모 수주 이후 ‘대어’급 수주가 끊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해외건
정부가 해외 건설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주택ㆍ도시, 철도, 도로,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합작투자사업) 등 선도적 사업 발굴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박상우 장관이 ‘2024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 개회식에서 한국 해외건설의 새 패러다임인 ‘Team Korea with YOU’를 공개했다고 10일
국토교통부는 ‘2024 글로벌 인프라 협력 콘퍼런스’(GICC)가 10일부터 개최된다고 8일 밝혔다.
GICC는 2013년부터 정부와 주요 해외발주처와 다자개발은행, 건설·엔지니어링 기업 간의 인프라 분야 협력과 우리 기업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는 행사다.
올해로 12번째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30개국의 50개 기관의 장‧차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해외건설협회에서 주관하는 ‘2024 글로벌 인프라 협력 컨퍼런스(GICC)’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GICC는 정부와 주요 해외발주처, 다자개발은행, 건설·엔지니어링 기업 간의 인프라 분야 협력과 우리기업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국내 최대의 행사다.
이번 행
해외건설협회는 임시 총회에서 제20대 상임회장으로 한만희 전 국토해양부 차관이 선출됐다고 5일 밝혔다. 임기는 이달 6일부터 3년간이다.
신임 한 회장은 1980년 공직에 입문해 국토해양부 혁신정책조정관, 국토정책국장, 주택토지실장,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을 거쳐 해외건설업무까지 총괄하는 제1차관을 역임했다. 퇴임 이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