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2일(월)
△민생 및 경제활력 지원을 위해 할당관세 지속 지원(석간)
△2024 가구주택기초조사 성공적으로 실시(석간)
△2024년 10월 온라인쇼핑동향(조간)
△2024년 하반기 적극행정 우수직원 및 우수부서 포상(조간)
3일(화)
△경제부총리 15:00 KTB 국제 컨퍼런스(서울 페어몬트)
△기재부 1차관 08:00 경제관
◇산업통상자원부
24일(월)
△통상교섭본부장 국외출장(헝가리, 리투아니아, 체코)10. 24 ~ 10. 29
△한-GCC 자유무역협정 제6차 공식협상 개최
△전원·데이터 접속(USB-C) 기준 국가표준 된다
△통상교섭본부장, 동유럽 3개국 방문을 위해 출국
△3기 소부장 으뜸기업 선정 추진
△한·중 전자상거래 협력 포럼 및 상담회 개최
△‘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22일 이라크 나세르 후세인 반다르(Nasser Hussein BANDAR) 교통부 장관과 만나 이라크 알포(Al Faw)신항 개발 사업과 관련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라크 알포 신항 개발 사업은 이라크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접하고 있는 남부 바스라주 알포에 신항만을 조성하는 공사로 이라크는 터키 등 인근 국가 간 연결 철도와
앞으로 해외 항만시장에 진출할 때 건설과 운영을 통합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1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2019년도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 정기협의회’를 개최한다.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는 항만분야의 해외 유망사업을 발굴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 3월에 부산항만공사(BPA), 수출입은행,
해양수산부는 14일부터 18일까지 베트남 교통부 공무원 등 항만관계관 14명을 대상으로 ‘해외 항만관계관 초청연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18년 베트남과 ‘항만개발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베트남 항만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조사를 지원하는 등 긴밀하게 협력해 왔다.
특히 이번 초청연수는 베트남 항만 관련 주요 정부인사를 대
우리 기업의 해외 항만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민ㆍ관 합동 회의가 열린다.
해양수산부는 19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2019년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 정기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정기협의회에는 한국항만협회, 항만공사, 건설업체, 해운물류업체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는 해외항만시장을 적극적으
국내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100억 원 규모의 방글라데시 항만 설계‧감리사업을 따냈다.
해양수산부는 방글라데시 정부가 발주한 ‘파이라항 컨테이너 터미널 설계 및 감리사업’ 국제입찰에서 세계 유수의 기업을 제치고 우리 기업(건화-대영-희림 컨소시엄)이 수주 성과를 거뒀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방글라데시 파이라항 1단계 컨테이너 터미널, 도
정부가 베트남 락후옌신항, 미얀마 띨라와항·킹스뱅크항 등 3개 항만을 파일럿 사업으로 선정, K-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우리 기업 수주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현재 13억6000만 달러 수준인 해외 항만수주를 2023년까지 25억 달러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22일 항만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해외항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
내년에 부산항 북항 일원 통합개발사업 등 항만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에 1조 2916억 원이 투입된다.
해양수산부는 26일 서울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항만업계 및 단체를 대상으로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2019년 항만정책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설명회에는 해수부, 관련 업ㆍ단체, 학계 및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한다.
이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호텔에서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와 ‘제2차 아랍에미리트(UAE)·베트남 프로젝트 수주 민관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그동안의 UAE·베트남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연초 내 발주가 예상되는 주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수주 지원 활동을 보다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산업부는 한·베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와 제2차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주요 프로젝트 진행상황 점검 및 수주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UAE 다운스트림 투자 포럼’ 민관합동사절단 파견, ‘한-UAE 수자원 협력 공동위’ 개최 등 그 동안 주요 프로젝트 수주지원 활동 내용을 공유하고 올해 말에서 내년초 발주가 예상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