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넷째 주(21~25일) 코스피지수는 전주 대비 20.14포인트(0.85%) 오른 2378.51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주 지수는 주중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25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 결정에 삼성그룹주들이 1% 넘게 낙폭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금융투자업계의 강력 매수에 출렁임은 제한됐다. 이 기간 외국인은 1456억 원어치, 기관은
우노앤컴퍼니는 황귀남씨로부터 '주주총회결의 무효확인(2017가합2297)' 소송에 피소됐다고 21일 공시했다.
황귀남씨는 "2014년 3월 28일(금요일) 오후 2시 전북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6로 255에서 개최한 피고 회사의 정기주주총회에 있어서 아래 의안(정관변경의 건)의 결의가 무효임을 확인한다"고 청구했다.
원고가 무효를 주장한 세부내용은 제5
신일산업이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적대적 인수합병(M&A) 세력들이 주총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사내이사 선임 등 현 경영진 측이 내세운 주요 안건들이 원안대로 통과되면서다. 적대적 M&A 세력들이 제기한 '이사 및 감사 지위확인' 가처분 신청이 받아들여지는 등 여전히 불안 요소는 있지만, 오너 측이 경영권 확보에 한발 더 다가섰다는
신일산업이 최대주주 지분 매각을 추진하다 이를 취소했다. 소액주주들은 김영 회장 측이 처음부터 매각 의사가 없었던 것 아니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신일산업은 최대주주 지분매각과 관련해 비공개 입찰을 진행했으나, 적정한 우선협상대상자를 찾지 못해 매각 일정 모두를 취소한다고 11일 공시했다.
신일산업은 지난 2월 중순부터 비공개로 메티스톤캐피탈파트너
신일산업 소액주주들이 동아건설 OB맨과 손 잡고 김영 회장 등 특수관계인들이 내놓은 신일산업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
신일산업은 최근 메티스톤캐피탈파트너스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지난 15일부터 잠재 인수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티저레터(투자안내문)을 발송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매각 되는 지분은 최대주주인 김영 회장 및 특수 관계인 경영권 지분 19
신일산업 김영 회장이 창립 57년 만에 경영권 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김 회장은 1959년 신일산업을 창업한 고 김덕현 명예 회장의 2세로 신일산업을 물려받았지만, 최근 2대 주주와의 지속된 경영권 분쟁으로 여러 소송에 연루되어 있다.
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일산업은 최근 매각 주관사로 메티스톤캐피탈파트너스를
[최대 주주 김영 회장 등 특수관계인 지분 19.4% 매각 대상]
[M&A] 경영권 분쟁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선풍기 시장 1위 기업인 신일산업이 매물로 나왔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일산업은 최근 매각 주관사로 메티스톤캐피탈파트너스를 선정하고, 지난 15일부터 잠재 인수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티저레터(투자안내문)을 발송 한 것으로 확인
신일산업은 현 경영진 등의 횡령혐의 피소설에 대한 재공시 내용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5일 밝혔다.
신일산업은 “4일 공시내용과 관련해 적대적 인수합병을 시도하고 있는 마일즈스톤인베스트먼트 측에서 지난해 10월경에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했으며, 지난해 12월 한국거래소에서 피소설 관련 조회 공시 요구가 있었음에 따라 재공시가 진행됐다”고 밝혔
지난 2년간 신일산업에 대해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에 나서고 있는 황귀남씨 등 5명이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검찰에 기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금융감독원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증권범죄합동수사단 등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 9일 신일산업에 대한 적대적 M&A를 이끌고 있는 황귀남, 강종구, 조병돈, 윤대중, 류승규 등 5명을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신일산업은 김영 회장 외 3인이 지난 8일 적대적 인수합병(M&A)을 시도하고 있는 마일즈스톤인베스트먼트의 황귀남, 이혁기 대표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고 10일 밝혔다.
신일산업에 따르면 황귀남, 이혁기 마일즈스톤 대표는 지난해 초부터 언론 등에 지속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해 신일산업과 경영진에 대한 흠집내기를 지속하며, 주주들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선풍기 명가’ 신일산업이 또 다시 진흙탕 싸움에 빠지면서 골머리를 썩고 있다. 내년 3월 정기주주총회를 앞두고 경영권을 차지하려는 적대적 인수합병(M&A)집단과의 긴 공방이 2년째 이어지고 있고, 수위도 점차 극에 달하고 있어서다. 최근엔 적대적M&A집단 측에서 횡령 혐의로 경영진을 검찰 고발했다는 주장까지 하면서 신일사업을 흔들고 있다.
마일즈스톤
[공시돋보기] 신일산업 경영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김영 신일산업 회장과 개인주주 황귀남씨의 경영권 분쟁에 지친 소액주주들이 모임을 결성해 경영참가를 선언했다. 소액주주모임은 10%가 넘는 지분으로 경쟁자들과 경영권 분쟁을 본격적으로 벌이게 됐다.
26일 신일산업 소액주주모임 관계자는 “김영 회장과 황귀남씨를 경영권에서 배제하고 전문경영
△한미약품, 중국에 폐암신약 기술 수출
△동부건설, 동부월드 회생계획안 부결
△신풍제약, 유럽서 소아용 말라리아치료제 신약 허가 승인
△SBS, 박정훈 대표이사 신규 선임
△포스코플랜텍, 포스코와 2344억 규모 공사 계약
△SK네트웍스, 최신원 SKC회장이 3만주 매수
△삼성물산, 9794억 규모 호주 시드니 지하차도 공사 수주
△[답변공시] 코아스, “
“내 밥그릇은 내가 챙긴다.”
2015년 주주총회가 31일로 막을 내렸다. 올해 주총시즌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주주들의 목소리가 커졌다는 점이다.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주주행동주의’가 국내에서도 적극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아직 ‘찻잔 속의 태풍’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지만 그래도 일부
경영권 분쟁에 휩싸인 신일산업이 경영권 방어에 성공했다. 다만 적대적 인수합병(M&A) 공격자 측이 이번 결과에 승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분쟁의 흐름이 어디로 흘러갈지 주목된다.
신일산업은 30일 오전 10시 서울시 송파구 충민로 가든파이브 툴관에서 제5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김영 신일산업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의 건을 승인했다.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