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아파트 매매, 전세 수요 심리가 작년보다 경직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온나라부동산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매매수급동향지수가 99.5를 기록했다. 전주 98.2와 비교했을 때 소폭 상승했으나 기준치인 100을 넘지 못했다. 전년 동기(2016년 10월 31일 기준) 104.9보다는 눈에 띄게 낮아진 수치다.
매매
국회의원 중 유일한‘부동산 전문가’인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은 최근 청년 주거 문제 해결과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정책적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김 의원은 주거 문제를 단순히 주거라는 관점에서만 바라볼 게 아니라 ‘주거복지정책’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들이 안정적인 생활을
정부가 올해 ‘도시재생 뉴딜’ 사업 대상 지역에서 서울 전역을 배제키로 하면서 이 사업의 효율성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정부가 지난 2일 발표한 ‘8·2 부동산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 전역을 올해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서 제외키로 함에 따라, 당초 문재인 정부가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던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첫 세법개정안과 8·2 부동산대책을 각각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법인세와 소득세의 최고구간 세율을 올리는 세법개정안에 대해선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김광림 정책위의장 대행은 3일 이투데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법인세 인상은 완전히 잘못 짚었다”며 “현재 지구상에서 법인세를 올리겠다는 나라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2일 다주택자 과세 강화, 투기과열지구에 대한 고강도 규제 등이 포함된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에 대해 “주택시장의 조기 안정화를 위한 시의적절하고 강력한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강훈식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에서 “투기과열 현상이 발생한 지역에 대해 맞춤형 대응을 하고, 투기는 근절하되 실수요 거래는 원활히 이뤄지도록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8.2 부동산대책’에 대해 역대 부동산 정책 중 손에 꼽힐 만큼의 초고강도 규제로, 시장이 한동안 관망세를 보이거나 동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입을 모았다.
2일 정부는 서울정부청사 브리핑룸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실수요 보호와 단기 투기수요 억제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른바 ‘8.2 부동산대책’이
정부는 2일 ‘6.19 부동산대책’의 후속 대책으로 2일 ‘실수요 보호와 단기 투기수요 억제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다음은 이른바 ‘8.2 대책’이라 불리는 이번 부동산 정책에 관한 질의 응답이다.
Q. 대책 추진 배경은?
A. 지난 6.19대책 발표 당시 대책 이후에도 시장의 과열 양상이 지속되면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의 추
부동산 시장이 정부가 내놓을 부동산대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일 부동산 시장에 따르면 정부가 6·19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지 한 달 보름 만인 이날 발표할 대책에는 과거 대책 때 제외됐던 투기과열지구 지정과 다주택자 과세 강화 등 초강력 부동산 규제 정책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