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오토모티브,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경영현황 및 2024년 실적 설명
△이상네트웍스, 경영현황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 증진 및 2024년 4분기 실적리뷰
△HLB파나진, 주요 사업현황에 대한 투자자 이해 증진
△KH바텍, 투자자 미팅을 통한 이해도 제고
△모나용평, 2024년실적 및 경영현황설명
△고영, 해외 NDR 및 HSBC Global Inves
[주주총회] 휴마시스·SM Life Design·한국팩키지·서플러스글로벌·무림SP·KBG·HLB파나진·삼일·조아제약·유안타제12호스팩·진바이오텍·한양이엔지·메디아나·테스·아모센스·성우전자·현대이지웰·지니언스·쿠콘·율촌·제일테크노스·온코테라퓨닉스·유안타제11호스팩·로체시스템즈·광진실업·미래에셋비전스팩5호·미래에셋비전스팩2호·넥스트바이오메디컬·KCI·부스타·
국내 증시가 미국 증시의 하락세로 인한 투자심리 약화로 하락 출발했다.
21오전 9시 4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36포인트(0.39%) 내린 2626.74로 거래됐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506억 원, 648억 원 순매도했지만, 외국인이 홀로 1107억 원 순매수했다.
이날 증시 하락은 미국 증시의 약세 마감 영향으로 해석된다. 뉴욕 증시
HLB파나진(Panagene)은 4일 자체 개발한 진단제품인 ‘파나뮤타이퍼 ROS1(PANAMutyper™ ROS1)’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화이자(Pfizer) 폐암 표적치료제 ‘잴코리(성분명: 크리조티닙)’의 동반진단 제품으로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장인근 HLB파나진 대표는 "이번 허가는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ROS1 유전자 바이오마커에 대한
HLB파나진(HLB Panagene)은 액체생검 암 진단키트 '파나뮤타이퍼 EGFR(PANAMutyperTM EGFR)'에 대해 말레이시아 의료기기청(MDA)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는 현재 말레이시아 주요 병원과 협력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파나뮤타이퍼 EGFR은 액체생검으
바이든 행정부의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Cancer Moonshot)’에 합류했던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향방이 주목된다. 글로벌 빅파마와의 파트너십 확대 및 미국 진출 기회로 기대감을 높였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으로 맥이 빠지게 됐다.
12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캔서문샷 프로젝트의 지속
코스닥 지수는 한 주간 1.64포인트(0.22%) 오른 729.05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투자자는 각각 1250억 원, 78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고, 외국인투자자 홀로 2170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디어유, 中 텐센트와 계약 소식에 급등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는 디어유(48.11%)의 주가가 제일 많이 올랐다. 중
HLB그룹이 제노포커스(Genofocus) 총 800억에 인수한다고 28일 밝혔다. 제노포커스는 맞춤형 산업용 특수 효소를 생산하는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이다.
이번 인수는 HLB를 중심으로 한 HLB계열사들이 인수와 증자로 250억원을 투자해 지분의 26.48%를 확보하고, 투자자 그룹이 5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
신약에 목마른 제약업계가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을 가진 바이오기업과 잇따라 협업하고 있다.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평균 10년 이상의 기간과 1조 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AI는 이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빅데이터로 임상 성공률까지 높이는 혁신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례로 화이자는 코로나19 백신을 만들 때 AI를 활용해 유행지역 예측과 임상시험
코스닥은 지난 한 주(1~5일)간 7.05포인트(0.84%) 오른 847.49에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439억 원, 1561억 원 순매수 한 반면 기관은 2098억 원 순매도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휴림네트웍스로 한 주간 83.51% 오른 6250원에 마감했다.
2일
5일 유가증권시장은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가 상한가를 기록했고, 하한가는 없었다.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는 최대주주인 에이프로젠을 상대로 총 60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되는 신주는 6607만9296주이며, 신주 발행가액은 주당 908원이다. 신주 상장예정일은 다음 달 30일과 9월 27일
HLB그룹주들이 미국식품의약국(FDA) HLB간암신약의 허가심사 재개 신청을 권고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강세다.
5일 오후 1시 50분 기준 HLB는 전일보다 12.06%(9900원) 오른 9만2000원에 거래 중이며, 같은 시각 HLB그룹주에 속하는 HLB제약(11.51%), HLB이노베이션(14.78%), HLB생명과학(15.37%), HLB사이
HLB파나진은 자회사 바이오스퀘어가 개발한 호흡기 진단 제품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체외진단 의료기기로 허가받았다고 4일 밝혔다.
RSV는 가을부터 초봄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다. 영유아와 노인이 감염될 경우 자칫 폐렴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아 조기 진단이 필수다. 일반적으로 감기와 증상
HLB그룹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인 아론티어에 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고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에 AI 플랫폼 기술을 접목한다.
HLB파나진은 40억 원 규모의 아론티어 신주 47만4664주를 인수, 총 10%의 지분을 확보한다고 2일 공시했다. 별도로 HLB인베스트먼트는 자체 운영하는 ‘HLBI 알밤 제1호 투자조합’을 통해 10억 원을
△에코앤드림, 하이니켈 NCM 전구체 공급 PO 계약 89억 원 규모 체결
△KH필룩스, 자회사 케이에이치강원개발주식회사에 634억 원 대여
△APS, 기업가치 증대 위해 APS머티리얼즈 흡수합병
△와이팜,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 목적 자사주 약 98만 주 소각 결정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비영리법인 한화문화재단에 120억 원 증여 이사회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신약 미승인을 받은 HLB가 2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다.
20일 오전 9시 58분 현재 HLB는 전장보다 29.81%(2만 원) 내린 4만71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각 HLB제약(-28.69%), HLB생명과학(-16.57%), HLB테라퓨틱스(-11.38%), HLB파나진(-0.17%) 등 그룹주도 일제히
분자진단 기업 HLB파나진은 초정밀 진단기업 ‘바이오스퀘어’를 인수한다고 10일 밝혔다. HLB파나진은 바이오스퀘어의 지분 90%를 확보, 자회사로 운영할 계획이다.
바이오스퀘어는 퀀텀닷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질병의 항원을 나노 수준으로 빠르고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퀀텀팩(QuantumPACKTM) 플랫폼과 이를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현장진단
HLB파나진(HLB Panagene)이 젠큐릭스(Gencurix)의 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40억원을 투자하고, 젠큐릭스는 파나진이 발행하는 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인수한다. 양사는 이를 통해 액체생검 기반의 맞춤의료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파나진은 17일 젠큐릭스 사옥에서 맞춤의료 실현 및 현장진단 기술개발을 위한 업무
젠큐릭스(Gencurix)는 17일 이사회를 열고 4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젠큐릭스는 HLB 파나진을 대상으로 67만16주를 주당 5970원에 발행할 예정이다. 이날 젠큐릭스의 주가는 코스닥 시장에서 6100원으로 마감했다. 납입일은 1월25일, 신주 상장예정일은 2월16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