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스는 자체 개발한 공진주파수분석법(RFA) 치과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첵큐(ChecQ)’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치과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는 임플란트 골유착 및 고정력 정도를 손쉽게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덴티스 의료기기연구소는 자체 기술력으로 세계적으로 세 번째이자 국내 최초로 RFA 방식 치과 임
뷰노는 인공지능(AI) 기반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 ‘HATIV P30(하티브 P30)’이 유럽 의료기기(CE MDR) 인증과 영국의 인증제도인 UKCA를 획득했다고 24일 밝혔다.
CE MDR은 유럽에 수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유럽 의료기기 규정이다. 기존 의료기기 지침인 MDD가 강화된 제도로 2021년 5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엄격한
웨어러블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씨어스)는 의료기기 단일심사 프로그램(Medical Device Single Audit Program, MDSAP)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19일 씨어스에 따르면 MDSAP는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포럼(IMDRF)의 인증 프로그램으로 의료기기 제조시설에 대한 단일 심사를 통해 안
웨어러블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의료기기 단일심사 프로그램(Medical Device Single Audit Program, MDSAP) 인증을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MDSAP는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포럼(IMDRF)의 인증 프로그램으로, 의료기기 제조시설에 대한 단일 심사를 통해 안전성, 품질
펩타이드 융합 바이오 전문기업 나이벡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나이벡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157억 원) 대비 56.3% 증가한 246억 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일회성 영업권 보상비용으로 인해 49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으며, 이자비용과 전환사채(CB) 발행에 따른 파생상품 평가손실 등으로 93억 원의 당기순손실
지니언스는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솔루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인 ‘지니안 엠디알(MDR)’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니안 MDR은 지니안 EDR 기반 관리형 탐지 및 대응 서비스다. 단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상시 정보 수집을 통해 위협을 탐지하고, 분석·대응한다.
재활로봇 전문기업 피앤에스미캐닉스가 올해 하반기 상지재활로봇을 출시한다. 하지재활로봇으로 인정받은 기술력을 통해 상지재활로봇 시장에서도 인정받겠다는 계획이다.
18일 피앤에스미캐닉스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어깨와 상체 등 상지재활로봇을 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앤에스의 상지재활로봇 출시를 통해 하지재활로봇의 유통망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미용 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가 올해 미국 시장 영업을 본격화한다. 하반기에는 유럽에서도 제품을 출시해 수출 확대에 따른 성장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클래시스는 지난해 미국에서 출시한 비침습 모노폴라 고주파 방식 피부미용 의료기기 '볼뉴머'를 올해 본격적으로 판매한다.
클래시스 관계자는 "지난해 처음 진출한 미국을 비롯해 수출국
SK쉴더스, 3일 '사이버 시큐리티 데이' 미디어 간담회보안관제 플랫폼 고도화에 수백억 원 투자 계획"최대주주 EQT파트너스, 투자 적극 지지"글로벌 협력도 강화…파트너社 ‘버라이즌’ 간담회 참여
SK쉴더스가 기술 고도화를 위해 인수·합병(M&A)을 추진한다. 보안 관제 플랫폼 시큐디움에도 수백 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김병무 SK쉴더스 부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의료 인공지능(AI) 산업이 발전하면서 허가 규정도 변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란 장점이 있지만 우려도 있어서다. 해외 진출에 도전하는 국내 기업은 높아진 규제 문턱을 넘기 위해 더욱 분주해졌다.
의료AI 분야에서 7년 넘게(총 경력 20년) 인허가 업무를 해온 박혜이 코어라인소프트 규제혁신부 이사는 최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본지와
나이벡은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143% 증가한 57억8263만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억5071만 원을 달성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일회성 영업외비용 지출로 60억2708만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3분기 누적기준으로도 매출액은 181억7189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6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4
의료 인공지능(AI) 뷰노(VUNO)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69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매출 36억원 대비 92%, 전분기 매출 64억원 대비 7% 증가한 실적으로, 뷰노는 7분기 연속 매출증가 추세를 이어가게 됐다.
또한 3분기 누적매출은 188억원으로 전년 연간매출 133억원을 뛰어넘었으며, 4분기에는 전년대비 연간
리가켐바이오, 국제행사서 ‘베스트ADC 플랫폼 기술’ 최고상 수상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는 6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된 ‘제11회 Annual World ADC Awards(이하 ADC Awards)’에서 ‘Best ADC Platform Technology’ 부문 최고상에 선정됐다. 2018년부터 해당 부문에서 6회 연속 수상이자 3회 연
나이벡은 ‘유럽치과임플란트학회(EAO) 2024’에 참가해 글로벌 임플란트 기업으로부터 바이오 소재 핵심 제품에 대한 신규 수주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신규 수주 품목은 콜라겐 중심의 제품들로 내년 초부터 공급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이번 수주로 기존 골재생 소재에서 콜라겐 제품에 이르기까지 수출품목이 다변화됐다.
신규 발주처는 조직재생 제품, 프
JW중외제약은 ‘하이-마미(HI-MAMMI)’ 보육기 3종이 국산 브랜드 중 최초로 유럽 의료기기 인증(CE MDR)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CE MDR(CE Medical Device Regulation)은 환자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품질, 안전성, 성능 규제를 강화한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의료기기 규정이다. 기존 규정인 MD
하이퍼코퍼레이션은 비마약성 진통제 'MDR-652'를 개발하며 신경병증 통증 치료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MDR-652는 기존 신경병증 통증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효현성을 작용기전으로 하는 겔 타입의 비마약성 진통제다. 마약성 진통제의
△유일로보틱스, 회사 소개 및 주요 사업현황에 대한 투자자 이해 증진
△카카오게임즈, 부국증권 MDR
△레이크머티리얼즈, 투자자 이해증진
△코아스템켐온, 회사 주요 현황 설명을 통한 투자자 이해 증진
△화승엔터프라이즈, 투자자들의 회사에 대한 이해증진
△화승인더스트리, 투자자들의 회사에 대한 이해증진
△현대모비스, 2024 Kiwoom Cor
국내외 주요 정부기관과 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VPN기밀성 갖췄지만 트래픽 암호화돼 사전 피해 감지 어려워
SK쉴더스 Top-CERT(탑서트)가 Ivanti VPN(가상사설망) 취약점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Top-CERT는 SK쉴더스에서 침해사고대응과 분석을 전담하고 있다. 해킹 사고 발생 시 즉시 사
새로운 수장을 맞이한 오스템임플란트가 하반기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낸다. 올해 목표로 세운 연매출 20% 확대에 성공해 1조5000억 원 기업에 다가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는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6645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4.2% 증가했다. 지속적인 글로벌 사업 확대에 따른 성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