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문래동 ‘소공인특화지원센터’ 방문… “창조경제 주역으로 가꿔나갈 것”

입력 2014-11-21 15: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영등포구 문래동 철공소 집적지(철공소 골목)를 찾아 “앞으로 이곳을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발상을 통해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가꿔 같이 만들어 나가려 한다”고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문래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현판식을 하며 “문래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개소를 계기로 수많은 젊은이들에게 꿈과 일자리를 주던 '문래동의 영광'을 철공인 여러분과 함께 다시 재현해드리고자 한다”며 “앞으로 이곳을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발상을 통해 창조경제의 주역으로 가꿔 같이 만들어 나가려 한다”고 약속했다.

과거 기계금속가공 분야의 국내 최대 집적지였던 문래동 철공소 골목은 한국 경제발전의 태동기인 지난 1960년대부터 소규모 철공소들이 모여 자연적인 단지로 조성된 곳이다. 하지만 영세화로 인해 활력이 예전만 못 하다. 대신 2000년대 들어 문래3가 일대의 빈 공장에 예술인들이 대거 입주하기 시작, 현재 250여명의 예술인들이 활동하고 있어 철공소 골목은 산업과 문화의 융합을 통한 제품 명품화와 지역 명소화를 추진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쇠를 깎고 녹여서 부품과 소재를 만드는 산업을 뿌리산업이라고 부르는데, 그런 의미에서 문래동은 뿌리 중에서도 뿌리”라며 “힘들지만 대한민국 최고 기술을 자부하면서 현장에서 묵묵히 땀흘리고 계신 소공인 여러분이야말로 진정한 애국자”라고 말했다.

또 "최고 기술을 가진 문래 상공인과 예술인의 감각이 접목이 된다면 산업과 예술이 만나 ‘메이드 인 문래’ 이런 명품이 탄생할 수 있고, 이런 제품들이 공공조달 시장이나 전자상거래 등으로 판로가 다각화된다면 기존에 하청 중심으로 가던 것을 넘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앞으로 두산인프라코어라든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연계를 해 기술개발이나 사업화, 활로 개척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꿈을 가진 청년들이 이곳 문래동에 모여들어 대한민국 최고 장인의 기술을 이어갈 후계자들이 탄생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전국에는 178개의 소공인 집적지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정부는 문래지원센터와 같은 지역 인프라를 확대하고 소공인 집적 지역 내에 공동 전시, 공동 판매장 같은 것을 설치해 앞으로 문래동의 성공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50,000
    • +0.97%
    • 이더리움
    • 4,754,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39,500
    • -1.64%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198,500
    • -0.35%
    • 에이다
    • 544
    • -2.16%
    • 이오스
    • 799
    • -4.43%
    • 트론
    • 178
    • +1.71%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1.35%
    • 체인링크
    • 19,110
    • -3.58%
    • 샌드박스
    • 457
    • -4.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