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 버스 시승, 일단은 성공… 광역버스 입석금지 대안책 될 수 있을까?

입력 2014-12-07 18: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 7일 오후 남경필 경기도지사(왼쪽에서 2번째)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인재개발원을 출발하는 경기도 2층 버스에 시승해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와 서울시를 오가는 광역버스 노선에 투입될 2층버스 시승행사가 7일 열렸다.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 이후 출퇴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승객 수송 능력이 뛰어난 2층 버스를 도입하기로 한 것이지만, 실제로 교통체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시승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대체로 안전성과 승차감에 높은 점수를 줬다. 하지만 승하차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려 오히려 교통체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2층은 1층보다 천장이 낮다는 단점도 있다. 2층 바닥에서 천장까지는 1.71m에 불과해 허리를 굽히고 승차하차를 해야한다. 앞뒤 좌석 사이 공간은 일반 광역버스와 거의 비슷하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남경필 지사는 "승차감이 좋고 안전하다고 느꼈다"면서 "시범운행 과정에서 안전문제와 도로사정 문제 등을 더 파악해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2층 버스를 운전한 7770번 운전기사 김영수(54)씨는 "일반 버스와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했다"며 "2층 손님이 계단을 이용해야 하므로 승하차가 문제인데 현재 1∼2분 소요되는 시간이 2배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층 버스는 이날 오후 2시 10분 도 인재개발원을 출발, 사당역을 돌아오는 코스로 1시간 20분가량 운행됐다.

시승 버스는 영국 알렉산더 데니스(ADL)사에서 만든 엔비로(Enviro)500 모델로 길이 12.86m, 폭 2.55m, 높이 4.15m 크기다.

도는 8∼26일 수원역∼사당역 '7770번', 김포∼서울역 'M6117번', 남양주∼잠실역 '8012번' 등 3개 노선에서 5일씩 차례로 시험 운영한다.

이 기간 일반 버스와 같이 정류장에 서고 승객도 태운다. 요금은 기존 버스노선과 동일하다.

버스정비사, 버스업계 직원, 공무원 등 3명이 안전관리자로 동승한다.

도는 국토교통부, 교통안전공단 등과 함께 시험 운행을 거쳐 내년 1월께 도입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대 상무ㆍ40대 부사장…삼성전자 임원 인사 키워드는 ‘다양성‧포용성’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어도어, 뉴진스 '계약 해지' 기자회견에 반박…"전속계약 여전히 유효"
  • 29일까지 눈..."낮아진 기온에 빙판길 주의"
  • 래퍼 양홍원, 25살에 아빠 됐다…"여자친구가 해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11: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431,000
    • +1.19%
    • 이더리움
    • 4,987,000
    • -0.78%
    • 비트코인 캐시
    • 715,000
    • +0.42%
    • 리플
    • 2,173
    • +6.83%
    • 솔라나
    • 334,600
    • -0.48%
    • 에이다
    • 1,461
    • +3.91%
    • 이오스
    • 1,136
    • +1.7%
    • 트론
    • 283
    • +1.43%
    • 스텔라루멘
    • 687
    • +2.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900
    • +0.93%
    • 체인링크
    • 25,030
    • -0.56%
    • 샌드박스
    • 926
    • +11.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