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을 넘어 사랑받는 가문(기업)이 되게 하라.’
세계적인 명문가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이렇게 한 문장으로 정의된다. ‘존경’은 이유와 목적이 뚜렷해 한 번의 실수로 쉽게 무너질 수 있지만 ‘사랑’은 필연적으로 이해가 뒷받침되기 때문이다.
부와 권력, 이른바 가진 자들은 늘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된다. 이들을 향한 대중의 막연한 적대심은 ‘부(富)’의 축적이 시작된 1750년대나, 260여년이 흐른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 세상이 변해도 가진 자를 바라보는 시선은 그들이 축적한 부, 그리고 대물림에 온통 쏠려있다.
부와 권력을 지닌 가문은 많다. 그러나 이들 가문을 모두 ‘명문가’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럼에도 발렌베리, 로스차일드, 록펠러 가문이 수대(代)에 걸쳐 세계적인 명문가로 칭송 받는 비결은 뭘까. 바로 진정성 있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사회와의 교감은 나눔에서 시작 = 발렌베리는 스웨덴 최대의 그룹이자 국민들이 가장 존경하는 기업이다. 지난 158년간 ‘도덕적 의무’를 충실히 수행한 결과다.
발렌베리 그룹 산하 기업들의 시가총액은 스웨덴 증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지만 오너가가 보유한 주식과 재산은 다 합쳐서 몇 백억원대에 그친다. 이는 회사의 수익이 모두 크누크엔앨리스 발렌베리 재단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돼 있기 때문이다. 발렌베리 재단은 과학기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후원하는 등 공익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록펠러가는 ‘나눔’ 그 자체였다. 가문의 시조인 존 데이비드 록펠러는 자서전에서 “나는 살면서 주는 삶이 그렇게 행복한지 진짜 몰랐다”고 언급했다. 록펠러는 오늘날 세계적 명문 대학인 시카고 대학 설립에 4억1000만 달러(현재 가치 약 100억 달러)를 기부했다. 아울러 세계 최대 공익재단인 록펠러재단과 록펠러의학연구소 설립에 본인의 재산을 아낌없이 투자했다. 윈스럽 록펠러2세는 1980년대 아칸소주 부지사 시절 받은 연봉을 자선단체에 기부했고, 12억 달러에 이르는 전체 재산 중 상당 부분을 학습 장애 어린이들을 위한 학교 설립에 지원했다.
◇돈 벌이 도구가 아닌 ‘동반자’ = 명문가가 이끄는 기업은 직원도 사회적 책임의 대상이다. 돈 벌이를 위한 소모품이 아닌 더불어 성장하는 동반자라는 인식이 강하다. 명문가 중 250년 이상의 가장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대표적이다.
영국 로스차일드은행은 1929년 미국 월가 주가 대폭락 사태의 여파로 불어닥친 금융권의 감원 바람에도 청소부조차 해고하지 않았다. 아울러 직원의 월급은 한 푼도 깎지 않았다.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로스차일드가의 이러한 모습에 직원은 물론 시민사회가 감동했고, 로스차일드 은행이 세계적인 투자은행(IB)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됐다. 이러한 로스차일드가의 성공담은 많은 기업이 ‘직원 중심 경영’을 실천하는 데 롤모델이 되고 있다.
미국 식료품 체인점 웨그먼스 푸드마켓은 1916년 설립 이래 지금껏 단 한 명의 직원도 해고하지 않았다. 가업을 이어받은 대니 웨그먼은 평소 “최고의 서비스를 위해서 직원들을 최고 수준으로 대우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웨그먼스는 무엇보다 직원들이 창의력과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 부문에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웨그먼스는 포춘지 선정 미국에서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의 상위권에 항상 위치하고 있으며, 최근 해리스 폴의 ‘2015년 미국 내 기업평판 순위’ 조사에서 애플(9위), 구글(10)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100년을 향한 도전… 기업 시민의 자세 = 한국의 기업사는 60년의 짧은 역사를 갖고 있다. 창업 세대는 전란으로 피폐한 한국 사회의 재건에 힘썼고, 2세대는 우리 경제의 발전을 이끌었다. 3~4대에 남겨진 과제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어떻게 이뤄낼 것인가이다.
한국 사회는 세대교체에 직면한 재계를 주목하고 있다. 의식이 성장한 만큼 시민사회는 오너 일가의 일거수일투족에 큰 관심을 보인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장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지난해 초 호텔신라 출입문을 들이받은 80대 택시기사에 대한 4억원 상당의 변상 신청을 취소한 것은 3세 경영인의 대표적인 미담으로 회자되고 있다.
LG가는 고(故) 구인회 창업회장 때부터 현재 구본무 회장까지 3대에 걸쳐 LG연암학원, LG복지재단, LG문화재단 등 공익재단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꾸준히 사회 각계각층 소외 이웃들을 지원해 오고 있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부와 봉사를 넘어 기업 시민으로서 사회와 소통하고 교감하는 것이 최고의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