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뛰는 CEO들]LG유플러스, 지방출장 가면 항상 직영점·고객센터 방문

입력 2015-02-23 11: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2013년 태국에서 열린 ‘글로벌 IT챌린지’ 대회에서 시각장애인 학생을 돌봐주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이동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기자들과 현장에서 가장 자주 마주치는 이는 단연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다. 각종 전시회나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물론, 지방에 출장을 가면 직영점과 고객센터도 거르지 않고 방문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전자제품 박람회 ‘CES 2015’를 직접 참가한 통신사 CEO도 이 부회장이 유일했다.

이 부회장의 현장경영 방침은 올 들어 한층 더 강화됐다. 통신분야에서 가치 창출의 중심이 공급자가 아닌 소비자로 바뀌게 되는 ‘뉴 라이프 크리에이터(New Life Creator)’ 시대가 온 만큼 철저한 고객중심, 현장중심이 아니고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 부회장은 올해 신년 인사를 통해 “영업, 네트워크, 고객센터 현장에서 본인 스스로 먼저 감탄할 수 있을 정도로 서비스가 마련돼야 고객들이 우리를 선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철 부회장은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제품 박람회인 ‘CES쇼’를 방문하고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IoT 혁신제품 전시 부스와 퀄컴 전시 부스 등을 방문해 IoT분야 신사업 발굴에 나서는 등 혁신적 행보를 보였다.

이 부회장의 남다른 현장 챙기기는 ‘답은 늘 현장에 있다’는 경영 철학도 한몫한다. 그는 현장을 방문할 때마다 “언제나 현장에 답이 있다. 그리고 현장을 다니다 보면 결국엔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낀다”며 “정책도, 가입자 수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고객에게 얼마나 진심으로 대하는가와 직원들의 마음이 얼마나 충만한가가 더욱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부회장의 이 같은 철학은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 부회장은 취임 연도인 2010년 LG유플러스의 매출 8조5000억원을 지난해 11조원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특히 지난해 이동통신 3사 간의 극심한 경쟁과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시행이라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영업이익 5763억원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4: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84,000
    • -1.17%
    • 이더리움
    • 4,748,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526,000
    • -1.22%
    • 리플
    • 658
    • -1.35%
    • 솔라나
    • 191,900
    • -0.52%
    • 에이다
    • 533
    • -2.74%
    • 이오스
    • 799
    • -1.24%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2.21%
    • 체인링크
    • 19,360
    • -3.05%
    • 샌드박스
    • 464
    • -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