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난소암이라도 위치에 따라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난소암 3기 환자에게서 원발 부위인 난소와 전이 부위인 대망, 복막을 포함한 11곳의 암 조직을 떼어낸 후, 정상조직과 함께 유전체 검사법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법(Whole Exome Sequencing, WES)으로 비교 분석했다.
11곳의 암 조직 유전자 돌연변이 중 11곳 암 조직 전체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돌연변이는 6%에 그쳤다. 즉 같은 암이라도 위치에 따라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양했다.
암은 세포 속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생기는 유전자 질환이다. 표적치료제는 특정 암세포에만 발현되는 특정 표적인자(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내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암 치료 효과를 높이고, 정상세포의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
그런데 난소암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유전자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어, 같은 표적치료제라도 어떤 부위에서는 약효가 있는 반면, 내성을 가진 부위에서는 약효가 없다.
이는 최신 암 치료 기법인 표적치료제가 암 치료에 실패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난소암은 진단 시 대부분 복막파종 즉 복막에 암세포들이 씨앗처럼 뿌려진 상태로 발견되며, 부피가 커서 한명의 환자에서도 암의 부위에 따라 유전자 돌연변이가 다양하다.
난소암의 전이 부위가 원발 부위에 비해 유전자 돌연변이의 축적이 크지 않은 것도 확인됐다. 이는 난소암 전이는 대부분 복막 내에서 파종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다른 암 종 예컨대 폐암, 뼈암과 같이 혈행성 전이와는 다른 형태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송용상 교수는 “차세대 유전체 검사법을 이용한 종양 내 다양성 연구는 다른 암 종에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는 상피성 난소암에서 여러 곳의 원발 부위 및 전이 부위의 샘플을 이용하여 종양 내 다양성 및 전이과정을 분석한 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종양위치에 따른 미세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영국의 의학전문지 ‘바이오메드 센트럴 암(BMC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