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화질 앞세워 조달시장 공략강화…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참가

입력 2015-03-18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8일부터 20일까지 열려

LG전자가 조달시장에서도 압도적인 화질을 앞세워 시장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이달 18~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5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에 참가한다고 18일 밝혔다. LG전자는 이번에 참가한 업체들 가운데 가장 큰 325㎡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TV 존, 학교솔루션 존, 커머셜사이니지 존, 시스템에어컨 존 등 분야별로 제품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구분했다.

LG전자는 구매 담당자들에게 제품구매에 관한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공공시장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장을 꾸몄다. 전시부스에 상주하는 제품 상담 직원 수도 전년대비 30% 이상 늘리고 나라장터에 실제 등록된 제품 위주로 전시하는 등 제품 설명에서 구매 상담까지 전시회 현장에서 한 번에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했다.

LG전자는 부스 입구에 77인치과 65인치 울트라 OLED TV를 배치해 차원이 다른 화질로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TV 존에서는 슈퍼 UHD TV, UHD TV, 스마트 TV 등 다양한 고화질 TV를 전시해 구매 담당자들이 제품의 특장점을 쉽게 비교할 수 있다.

커머셜사이니지 존에는 맞춤형 정보 솔루션을 탑재해 많은 민원인이 출입하는 지자체, 대학교, 박물관 등 공공기관에 적합한 사이니지 제품들이 전시됐다. LG전자는 일반 TV보다 6~7배 더 밝은 고휘도 사이니지, 풀HD보다 해상도가 4배 높은 UHD 사이니지, 47인치 사이니지 4대를 결합한 비디오아트월 등 고화질 제품들도 소개했다.

시스템에어컨 존에서는 고효율, 스마트 기능 등 기술력이 집약된 제품들이 눈길을 끌었다. 2015년형 ‘멀티브이 슈퍼 4’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제품을 작동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기능을 국내 최초로 탑재해 관람객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LG전자는 최경량 노트북 ‘그램’ 시리즈, G패드, 84인치 대형 전자칠판 등 IT기기와 연계한 스마트 교육 환경 솔루션과 미니빔 TV, 듀얼 모니터, 클라우드 서비스 등 오피스 솔루션, 보안 강화를 위한 CCTV와 관제센터 솔루션도 함께 전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왕 할 알바라면…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휴수당'도 챙기세요 [경제한줌]
  •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서 머리 다친 피해자 결국 사망
  • “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김수현 "김새론과 5년 전 1년여간 교제"…미성년자 시절 교제 재차 부인
  • 의대생 돌아왔지만…교육부 “실제 수업 정상 참여가 복귀”
  •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최형록 “회생 인가 전 M&A 목표”
  • "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 'NC파크 사망자 애도' KBO, 내달 1일 전 경기 취소…주중 창원 경기도 연기
  • 오늘의 상승종목

  • 03.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81,000
    • -0.42%
    • 이더리움
    • 2,721,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453,000
    • +0.33%
    • 리플
    • 3,120
    • -2.47%
    • 솔라나
    • 187,200
    • -0.37%
    • 에이다
    • 981
    • -1.41%
    • 이오스
    • 919
    • +3.26%
    • 트론
    • 357
    • +2.88%
    • 스텔라루멘
    • 395
    • -1.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070
    • -1.67%
    • 체인링크
    • 20,240
    • -0.3%
    • 샌드박스
    • 405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