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구기종목"…'골프공'이 골프채보다 비쌌다 [골프더보기]

입력 2025-03-31 15: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적인 골프 대회를 비롯한 각종 대회와 그 중심에 있는 선수들의 활약을 짚어보고, 흥미로운 골프의 세계를 풀어내는 코너입니다. 경기의 순간들, 선수들의 스토리, 그리고 골프의 역사와 문화까지, 골프 관련해 보기(BOGEY) 좋은 순간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라운딩을 나갈 때 우리는 어떤 클럽을 가져갈지 신중하게 고민합니다. 하지만 정작 골프공에 대해서는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프채만큼이나 중요한 요소가 바로 골프공인데요. 같은 스윙이라도 공의 종류에 따라 비거리와 스핀, 컨트롤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프로 선수들은 경기에 앞서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골프공을 신중하게 선택할 만큼 골프공이 기록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그렇다면 우리 역시 골프를 치면서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처음 골프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골프공에는 오목한 홈이 왜 있을까?"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현대적인 골프공은 단순한 공이 아닙니다. 수백 년 동안의 진화를 거쳐 만들어진 기술 집약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실제로 골프공은 비거리, 스핀, 컨트롤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기술이 발전하면서 재질과 구조가 비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나무 골프공과 깃털공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골프의 기원이 되는 15세기 스코틀랜드에서는 골프공이 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사용된 나무 공은 주로 단단한 '너도밤나무(Beech)와 밤나무(Chestnut)'로 제작됐으며, 표면이 매끈하고 무겁고 바운스가 거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비거리가 짧고, 방향성이 일정하지 않았죠. 당시 골프는 이런 특성 때문에 짧은 거리의 경기 위주로 진행됐습니다.

그러다 17~19세기에 들어서면서 골프공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바로 ‘깃털 공(Featherie Ball)’이 등장했는데요. 젖은 거위털을 소나 말 가죽 주머니 안에 압축해 넣고 말려서 부풀리는 방식으로 제작됐습니다. 공 표면은 바늘과 실로 정교하게 꿰매어 둥근 형태로 제작했죠. 나무 공보다는 가볍고, 탄성이 있어 비거리가 2배 이상 나갔습니다. 이 깃털공이 나오면서 골프 역사상 최초로 ‘스핀’ 개념이 생겼고, 보다 정밀한 샷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러나 깃털 공은 제작 과정이 매우 까다로웠고, 습기에 약한 단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숙련된 장인이 하루에 제작할 수 있는 공의 개수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쌌죠. 당시 골프채보다 공이 훨씬 비쌌습니다. 그래서 아이언 클럽 세트보다도 하나의 공이 더 비쌌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이런 높은 가격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귀족들만 사용할 수 있는 고급 골프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구타 페르차 공, 골프공의 대중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골프공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찾아온 것은 19세기 중반입니다. 바로 구타 페르차(Gutta-Percha) 공, 일명 ‘거티(Guttie)’가 등장하면서부터입니다. 말레이시아에서 나는 '고무질의 수지(Gutta-Percha)'를 사용해 만들었는데요. 뜨거운 물로 가열해 둥글게 성형이 가능한 게 장점이었죠. 이전 깃털 공보다 훨씬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했기에 골프를 대중화시키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셈이죠. 특히 일정한 비거리와 내구성을 갖출 수 있었는데요. 이때 표면이 매끈한 것보다 거칠게 만들었을 때 공기 저항이 줄어든다는 사실 발견한 이후 최초의 ‘딤플(오목한 홈)’ 개념 등장합니다.

현재까지 그 모습을 이어온 만큼 거티 공의 등장은 골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죠. 이로 인해 골프가 귀족들의 전유물이 아닌, 일반 대중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스포츠가 된 것입니다.

딤플과 고무 코어의 혁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0세기 들어서는 골프공이 과학적으로 연구되면서, 지금과 같은 딤플 디자인과 고무 코어 구조로 진화했습니다. 1900년대 초반, 미국의 '코번 해스켈(Coburn Haskell)'이 최초로 골프공을 개발하는데요. 공의 중심을 고무로 만들고, 실을 감아 탄성을 높인 구조로 제작하게 됩니다. 이후 1930년대 들어서 현대적인 딤플 패턴을 공식적으로 표준화하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죠.

골프공은 비거리와 정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같은 스윙을 해도, 공의 디자인과 구조에 따라 비거리 차이가 날 수 있죠. 그래서 프로 선수들은 특정 조건에서 최적의 비거리를 낼 수 있는 공을 까다롭고, 신중하게 선택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타이거 우즈와 그의 성공을 함께해 온 '브리지스톤 골프공'은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있죠. 뛰어난 비거리, 정확성, 부드러운 타감을 모두 갖춘 타이거 우즈 볼은 오늘날에도 전 세계 골퍼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尹 탄핵사건, 4일 오전 11시 생중계 선고…역대 최장 심리 기록
  • 장제원 전 의원 사망…강동구 오피스텔서 발견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김수현, 카톡 공개에 되레 역풍?…'김수현 방지법' 청원도 등장
  • [트럼프 상호관세 D-1] ‘기울어진 운동장’ 안 통했다…韓 IT업계 촉각
  • "신혼부부의 희망?"…'미리내집'을 아시나요 [왁자집껄]
  • "지브리 풍 이렇게 인기인데"…웹3, 애니메이션으로 돌파구 찾을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843,000
    • +3.15%
    • 이더리움
    • 2,850,000
    • +4.97%
    • 비트코인 캐시
    • 461,300
    • +2.13%
    • 리플
    • 3,194
    • +2.57%
    • 솔라나
    • 188,200
    • +0.43%
    • 에이다
    • 1,015
    • +3.26%
    • 이오스
    • 1,021
    • +10.86%
    • 트론
    • 352
    • -1.4%
    • 스텔라루멘
    • 406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7,930
    • +1.98%
    • 체인링크
    • 21,180
    • +4.64%
    • 샌드박스
    • 412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