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일자리를 놓고 세대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한국의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연초 11%로 거의 15년 만에 최고치에 이르렀으며 40세 이상 실업률의 네 배에 달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 실업률도 9.3%로 5월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40~49세 실업률은 2.7%, 50~59세는 2.6%에 불과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젊은이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아 공무원 시험을 많이 준비하고 있다”며 “이는 실업률을 끌어올리는 원인”이라고 말했다.
한국외대에서 영어를 전공하는 26세의 한 학생은 “아직도 많은 기업이 재학생들만 신입사원으로 뽑기 때문에 졸업을 수년 미뤘다”며 “올해도 70여 곳에 지원했지만 모두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부모세대는 경제 고속성장기여서 일자리를 구하기가 매우 쉬웠다”며 “그러나 내가 있는 스터디그룹 구직자 평균 연령은 현재 30세”라고 절박한 심정을 토로했다.
그러나 노년층의 상황도 절박하기는 마찬가지다. 불충분한 연금시스템, 50대만 되면 비용 절감을 이유로 종업원들을 퇴직시키는 기업들로 인해 한국 노년층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1위라고 통신은 지적했다.
한국철도공사에서 2년 전 퇴직한 이 모 씨(59)는 지금도 새 직장을 찾고 있다. 그는 현재 220만원의 연금을 받고 있지만 자녀 교육비로 모아놓은 돈을 다 써 그와 부인이 생활하기에 빠듯한 상황이다. 이 씨는 “평균수명이 80세를 넘긴 가운데 나처럼 건강한 사람은 70세까지는 일해야 한다”며 “퇴직연령을 늦추면 젊은이들에게 돌아갈 일자리가 적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월급이 적더라도 계속 일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은 공식적인 퇴직연령이 없지만 일반적인 근로자는 약 53세에 회사를 그만두게 된다. 이후 많은 이가 연금과 저축, 비정규직, 자영업 등을 하면서 근근이 살아가고 있다.
내년부터 정년퇴직연령이 60세로 높아지는 등 정부도 나름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경제성장이 둔화한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기는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