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일 한국거래소의 본사가 위치한 부산지역에서 코스닥 시장 분리에 반대의견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부산이 자본시장의 중심지라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에서 ‘거래소 경쟁력 강화방안’을 브리핑을 갖고 “부산이 거래소의 중심지이며 앞으로도 부산이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코스닥시장 분리 후 본사 부산 존치라는 정부 일각의 주장에 대해 임 위원장은 “(분리된 코스닥 법인) 소재 문제는 관련 기관과 협의를 해나가야 한다”며 “어디에 둔다는 것은 아직 관련 기관이 설립되지 않았고 주주들과의 협의문제가 있어 단독으로 말하기는 힘들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그는 “하지만 현재 거래소가 관련 기관들이 부산에 있고 부산이 자본시장의 중심지라는 원칙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이날 거래소 지주사 전환을 골자로 하는 ‘거래소시장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유가증권시장본부, 코스닥시장본부, 파생시장본부 등 각 본부를 별도의 자회사로 분리해 거래소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별도 법인으로 분리되는 코스닥시장은 혁신형 기술기업 등에 대한 적극적인 상장유치를 통해 코스피시장과 차별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임 위원장은 지주사 출범 시가와 관련해 “이미 국제화 흐름에 다소 뒤쳐져 있어 하루라도 빨리 추진해야 한다”며 “다만 상당히 많은 회사를 설립해야 하는 과정이 있고 우리가 생각하는 목표는 내년 1년 정도 소요된다고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