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스티, 컴백 앞두고 돌연 중국으로 떠난 이유는 무엇? 울림 측 “SNS 말고 대화 나눌 수 있는 연락 기다린다”

입력 2015-07-16 14: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테이스티 (사진제공=울림엔터테인먼트, 테이스티 공식 트위터 캡처 )

테이스티의 소속사 울림엔터테인먼트가 테이스티의 반박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16일 울림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이투데이에 “테이스티의 반박글을 봤다. 그들이 중국에 무단 출국 후 연락을 끊은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신곡 녹음 과정에서 소속사와 테이스트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고 묻자 관계자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며 “신곡 녹음도 잘 마쳤고 6월 중순 컴백을 앞두고 있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관계자는 “테이스티가 현재 우리 연락도 받지 않고 있으며, 연락을 먼저 취하지도 않은 채 SNS로만 말을 하고 있다”며 “아직은 우리 회사의 소속 가수이기 때문에 SNS 말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연락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테이스티는 15일 공식 웨이보를 통해 “8년에 걸친 한국 생활이 종료된 것을 알려드린다. 회사외 협상할 수 없는 일이 많았고 긴 시간 고려해 결정을 내렸다” 며 “한국 생활은 종료되지만 저희의 음악사업은 멈추지 않는다. 음악 활동은 계속 진행하겠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이에 울림엔터테인먼트 측은 “새 앨범 발표를 목표로 신곡 녹음을 완료 했고 6월 중순 컴백 예정이었다”며 “6월 초 무단으로 중국에 출국한 후 연락이 두절됐다”고 말했다.

울림엔터테인먼트 측 입장을 접한 테이스티는 16일 자신들의 트위터를 통해 “얘기 안하고 일방적으로 잠적한거라뇨? 전에 이사님들이랑 사장님이랑 얘기한 건 다 뭐죠? 이해할 수 없는 건 저희 입장을 충분히 말씀드렸고 또 회사에서 이해한다고 해놓고선 지금와서는 갑자기 사라진 것처럼 일방적인 잠적이라니 이해가 안가네요”라는 반박글을 게재했다.

이어 “신곡 녹음 완료라뇨? 맴버들의 의견을 듣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곡을 선택하고, 이번곡을 타이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의 컴백은 또 언제까지 미뤄질 지 모른다고 얘기한 사람은 누구였죠? 하나 하나 다 얘기하는 걸 귀찮아하는 성격들인데 하나하나 얘기할 때가 왔네요”라고 덧붙였다.

테이스티는 중국인 쌍둥이 대룡과 소룡으로 구성된 남성 듀오로 2012년 8월 싱글 ‘스펙트럼’으로 데뷔해 국내와 중국에서 활동을 펼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61,000
    • +1.06%
    • 이더리움
    • 4,761,000
    • -0.1%
    • 비트코인 캐시
    • 538,500
    • -1.01%
    • 리플
    • 667
    • +0.3%
    • 솔라나
    • 198,400
    • +0.35%
    • 에이다
    • 545
    • -0.37%
    • 이오스
    • 798
    • -4.2%
    • 트론
    • 178
    • +2.3%
    • 스텔라루멘
    • 127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0.64%
    • 체인링크
    • 19,140
    • -2.35%
    • 샌드박스
    • 461
    • -3.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