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 회장, 순환출자 해소 첫 걸음 롯데제과인 이유는…

입력 2015-08-30 13: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태현 기자 holjjak@)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순환출자 해소를 위한 첫 행보로 롯데제과 주식을 매입했다. 특히 롯데제과는 신 회장과 경영권 갈등을 보였던 오너일가 측의 지분이 유독 많은 계열사다. 신 회장이 롯데제과를 첫 번째로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 내막이 눈길을 끈다.

신 회장은 지난 28일 장마감 후 롯데제과 주식 1만9000주(지분율 1.3%)를 롯데건설로부터 종가(188만2000원)에 매입했다. 신 회장의 롯데제과 지분율은 총 6.7%로 증가했다.

이로써 롯데그룹은 기존 순환출자 고리 416개 중 140개가 해소됐으며, 전체 순환출자 고리 중 약 34%가 정리됐다.

이는 신 회장이 지난 11일 순환출자 80% 해소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직접 실천에 나선 ‘첫 행보’이다. 그 중심에는 계열사 롯데제과를 선택했다.

롯데제과는 주요 주주로 신격호 총괄회장 6.84%, 신동주 전 부회장 3.93%, 신영자 이사장 2.94%, 신영자 이사장이 지배하는 롯데장학재단 8.69% 등을 구성하고 있다. 이번 롯데그룹의 오너일가 경영권분쟁으로 예상됐던 표대결이 치뤄졌다면 신 회장의 승리를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특히 롯데제과의 최대주주는 롯데알미늄이다. 롯데알미늄은 L제2투자회사가 34.92%를, 광윤사가 22.84%를 보유하며 주요 주주로 있어 사실상 일본 롯데의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일본 롯데와 연결돼 있는 롯데알미늄의 지배하에 있는 롯데제과의 장악도 신 회장에게는 필수적인 셈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롯데제과 주식 매입을 두고 신 회장이 순환출자를 해소하면서 향후 촉발될 수 있는 표대결을 염두한 움직임이라는 해석도 내놓고 있다.

앞서 롯데그룹이 경영권분쟁으로 내홍을 치를 당시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푸드 등 일부 계열사들의 경우 신동주 전 부회장과 신영자 이사장의 지분율을 합치면 신동빈 회장보다 많았다. 하지만 신 회장이 이번 롯데제과 주식을 추가로 매입하면서 두 사람보다 0.3%가량 많아졌다.

한편 롯데그룹의 순환출자고리는 276개가 남았다. 롯데그룹은 오는 11월말까지 순환출자의 80% 이상을 해소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속보 이재명 ‘위증교사’ 1심 법원 “무죄” 선고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서울 아니라고?” 10년간 전국 청약 경쟁률 1등 ‘여기’
  • 단독 ‘농심 3세' 신상열 상무, 전무로 승진...누나 신수정도 임원 직행
  • "9만9000달러는 찍었다"…비트코인, 10만 달러 앞두고 일시 횡보 [Bit코인]
  • 논란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선…막후 권력자는 당선인 아들
  • “명태균에 여론조사 뒷돈”…오세훈 서울시장 검찰 고발당해
  • "정우성, 오랜 연인있었다"…소속사는 사생활 일축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03,000
    • -0.75%
    • 이더리움
    • 4,661,000
    • -1.94%
    • 비트코인 캐시
    • 703,000
    • -1.75%
    • 리플
    • 2,005
    • -0.99%
    • 솔라나
    • 347,400
    • -2.17%
    • 에이다
    • 1,431
    • -2.85%
    • 이오스
    • 1,134
    • -3.16%
    • 트론
    • 287
    • -4.33%
    • 스텔라루멘
    • 710
    • -9.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700
    • -5.49%
    • 체인링크
    • 24,800
    • +0.4%
    • 샌드박스
    • 1,064
    • +32.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