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진입을 망설였다. “종교단체가 모인 곳”이라는 게 이유였다. 경찰은 여러 날을 머뭇거리며 금수원, 그리고 구원파의 눈치를 살폈다. 그러자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못 잡는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역정을 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사실상 금수원 진입 명령이었다.
수사본부는 그 와중에도 금수원 측과 진입 시점에 대한 사전 협의(?)에 나서기도 했다. 물리적 충돌을 막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렇게 힘들게 금수원에 들어섰지만 경찰은 수배 중이던 핵심 인물의 신병 확보에 실패했다. 경찰이 금수원 정문 앞에서 머뭇거리는 사이, 이들은 유유자적 금수원을 빠져나갔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경남 밀양의 송전탑 반대 농성장도 철거됐다. 대규모 철거원들과 경찰 병력이 당시 농성장에 들이닥쳤다. 이들은 농성장을 지키던 70~80대 노인들을 둘러쌌다. 농성장을 지켰던 이들은 금수원이나 구원파만큼 조직력을 갖추지 못했다. 조직적으로 수억원의 돈을 모아 “진상 규명에 사용하겠다”는 금수원과 달리 평범한 촌로들이었다.
당시 송전탑 농성장을 지켰던 노인들 사이사이에 천주교 수녀들이 무릎을 꿇었다. 수녀들은 농성장에 모여 손을 모으고 기도했다. 철거원들과 경찰이 농성장에 진입하자 이들은 팔짱을 끼고 인간 사슬을 만들어 노인들을 보호했다.
그러나 이날 밀양에서 보여준 공권력은 금수원 앞과 달랐다. 철거원 뒤에 서 있던 경찰은 주민의 저항이 시작되자 이들을 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일부는 병원에 실려 가기도 했다. 밀양 농성장 노인들과 수녀들을 거침없이 끌어냈던 경찰의 상당수는 지난해와 올해 표창장을 받고 특별 승진의 혜택을 누렸다. 국회 안행위 임수경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2년간 경남지방경찰청에서 집회시위 대처 관련 표창자 가운데 64.6%가 이 송전탑 철거를 주도한 이들이었다.
뿐만 아니다.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과 관련해 국회 국정조사장이나 법정에서 증언을 한 경찰 중 절반 이상이 특별 승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관은 직무의 특성상 공공의 권리를 집행하는 힘이다. 상명하복이 뚜렷하고 위계질서가 강하다. 명령에 따라 움직인 이들은 임무수행에 따른 성과를 조직에서 보상받기 마련이다.
그러나 세상이 바라보는 시선은 다르다. 밀양 농성장 철거 당시, 여경들은 농성장 앞에서 환하게 웃으며 기념 촬영까지 했다. 이런 모습이 온라인에 확산되자 공분은 더욱 커졌다. 나아가 이들을 지휘한 경찰 간부들이 특진까지 누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경찰 조직을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이 시선을 어떻게 거둬낼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