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은 대기업의 자금 조달 환경이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현재 금융당국과 채권은행이 진행 중인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가 이르면 내달 발표되고,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두드러지면서 회사채 시장이 양극화돼 경색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현재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 4대 취약업종 구조조정이라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적용, 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영업현금흐름 등을 정량적ㆍ정성적으로 꼼꼼히 살피고 있다.
하반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대상에 오르는 기업의 수는 300여곳으로 추정된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상반기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이상 대기업 가운데 부실 위험이 있는 572개사에 대해 평가했으며, 이중 35곳이 구조조정 대상 명단에 올랐다.
중소기업의 경우 채권은행은 지난 7∼10월 진행된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전년 대비 40% 늘어난 부실징후 기업 175개 선별해 이미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은 연말까지 경영 악화ㆍ잠재부실 우려 기업 등에 대한 채권은행의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은행권 공동으로 여신심사 선진화 TF를 운영해 여신심사 역량 강화, 여신심사시스템 정비 등을 추진한다. 금융감독원은 신용위험평가 결과, 한계기업 관리현황, 대손충당금 적립상황 등에 대한 현장점검으로 채권은행의 구조조정 노력에 힘을 보태게 된다.
이렇게 되면 채권은행의 돈줄 옥죄기가 보다 강화돼 대기업이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게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채권시장 상황도 여의치 않다. 회사채 시장 경색으로 시장을 통한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을 앞두고 미리 자금을 조달하려는 회사채 발행 기업이 줄을 잇고 있지만, 벌써부터 수요예측 과정에서 매각수요를 채우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업 구조조정 이슈가 맞물리면서 우량채와 비우량채 간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회사채시장의 양극화는 미국 금리 인상을 앞두고 나타난 시장의 선별화(Screening) 과정이고 미국도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어 자연스럽지만 구조적인 배경이 있는지를 유심히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금융위ㆍ금감원 주도로 회사채, CP 등 기업자금시장을 중심으로 정밀 점검해 부실기업에 따른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모니터링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은행이 기업 자체의 생존 가능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거래 대기업의 구조조정만을 이유로 무조건 여신축소하는 관행은 자제시킬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