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 부정부패에 해당하는 비리들이 어떤 게 있는 지 검토 중이다. 구조적 비리가 거론될 수 있지만,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
전국 단위의 대형 부패사건을 전담할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의 초대 단장을 맡은 김기동(52·사법연수원 21기) 검사장은 27일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특수단이 출범하면서 첫 수사대상은 정·재계를 비켜갈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정치적 중립을 지킬 수 있느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사건 선정에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지 않겠냐는 것이다. 그러나 김 단장은 모든가능성을 열어놓고 특별히 분야를 한정하지 않고 있다는 취지의 말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적합한 사건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중치적 중립성 우려도 있지만, 부정부패 수사를 제대로 해보라는 기대가 훨씬 많을 것으로 보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는 소감도 밝혔다. 김 단장은 수사 대상으로 삼을 '전국 단위 부정부패'라는 것은 관할에 얽매이지 않고 대형 비리 사건에 대한 수사를 하겠다는 것이지, 사건이 발생하는 지역을 말하는 물리적인 개념이 아니라는 설명도 곁들였다.
특수단은 서초동 서울고검 청사 12층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고검과 중앙지검 검사나 직원들도 출입이 제한되며, 수사 내용은 대검 반부패부장을 거쳐 검찰총장에게 보고된다. 사건을 선정은 물론 수사 방향에도 검찰총장의 의중이 반영된다. 대검 중수부 부활 논란을 의식한 듯 '정식 직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현판식이나 출범식은 따로 열지 않았다.
이날 평검사 인사가 이뤄지면서 특수단에는 8명의 검사가 가세했다. "금융이나 특수수사 분야에서 경력을 인정받은 자원을 지휘부와 논의해 선발했다"는 게 김 단장의 설명이다. 특수단은 평시에는 2개팀 체제로 검사 11명과 수사관 19명 등 30명 규모로 운영된다. 하지만 중요 사건이 있을 경우 전국 일선청에서 인력을 끌어올 수 있어 유연하게 몸집을 불릴 수 있다. 사실상 검찰총장이 직접 지휘하고, 규모를 확대해 화력을 집중할 수 있어 대검 중부부를 부활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수단은 별도의 조사실도 8개 설치했다. 그 중 3개는 내부를 단말기로 지켜볼 수 있는 영상조사실로 운영된다. 다른 조사실보다 규모가 큰 곳 방도 1개 따로 마련했다. 과거 대검 중수부에서 사용했던 'VIP 조사실'을 떠올리게 한다.
대검으로부터 사건 정보를 넘겨받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특수단은 이르면 2월 말, 늦어도 3월 중으로는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