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5일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따르면 ‘편두통’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0년 47만9000명에서 2015년 50만5000명으로 5년새 5.3% 증가했다.
‘편두통’으로 진료 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 수가 약 2.5배 많았다. 5년간 성별 진료 인원은 남성이 2010년 13만2000명에서 2015년 14만4000명으로 9.2% 증가했고, 여성은 2010년 34만7000명에서 2015년 36만1000명으로 3.8% 늘었다.
진료비는 2010년 396억원에서 2015년 532억원으로 34.4% 증가했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성 편두통 환자가 많은 이유에대해 김종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 (estrogen),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이 편두통과 연관돼 있을 수 있으며,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에서는 연령별로 70대(1542명)가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1382명), 50대(1266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여성은 50대(1952명)가 가장 많았고, 70대(1905명), 40대(1791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80세 이상(1182명)이 가장 많았고, 70대(1075명), 60대(738명)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분석에서 인구 10만 명당 시도별 ‘편두통’ 진료인원은 제주가 16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 1582명, 대전 1271명 순이었다. 반면, 울산이 796명으로 가장 작았고 인천 834명, 서울 890명 순으로 나타났다.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의 원인에 대해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소가 있으며 실제적으로 유전병과 같이 유전되는 편두통이 밝혀지기도 했다”며 “신경염증, 혈관수축, 반복되는 통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중심감작 central sensitization)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고 말했다.
편두통 증상은 일반 두통과 달리 두통이 발생하기 전 전조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데 환자마다 달라서, 눈앞에서 아지랑이 피는 것이 보이는 시각 증상에서부터 뇌경색과 같이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김 교수는 “편두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잠, 운동, 영양섭취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며 “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폐경 등으로 편두통이 악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ㆍ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