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석유화학·건설 제외한 주력산업들 하반기 회복 불투명”

입력 2016-06-16 15: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6년 하반기 주력산업 경기전망 및 주요 요인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2016년 하반기 주력산업 경기전망 및 주요 요인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올 하반기 국내 주력산업들 대부분이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조선은 계속 부진하며 전자·자동차·철강은 흐림, 석유화학과 건설업은 시황 회복에 따라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관측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6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2016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임상혁 전경련 전무는 “올해 우리 경기 상황이 좋지 않다”며 “1분기 성장률이 0.5%에 그치는 등 2014년 2분기 이후 0%대의 부진한 성장률을 기록했고, 국제통화기금(IMF)·한국개발연구원(KDI)·한국은행과 같은 국내외 기관이 성장률을 하향조정 하는 등 2%대 저성장이 굳어지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실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저성장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만성적 수요 감소에 따른 구조적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로 보인다”며 “올해도 세계경제성장률은 중국 경제 둔화 및 원자재 수출국 부진, 미국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3.2% 소폭 개선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도 “국내경제가 올해 2% 중반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장기적으로 고령화 및 생산성 저하에 의한 잠재성장률 하락을 우려된다”고 말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업계 전문가들은 하반기 국내 주력산업 경기회복은 여전히 제한적일 것으로 보았다.

특히 수주절벽, 구조조정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업은 하반기에도 계속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고, 자동차·전자·철강의 경우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남아 있어 가시적인 회복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반면, 건설은 신규주택 분양가 상승 영향과 해외 저가수주로 인한 손실 반영이 마무리 단계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화학 역시 공급부족으로 인한 호황 국면이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틀간 내린 폭설에 출근길 마비…지하철 추가 운행 등 대책 마련
  • '핵심 두뇌' 美·中으로…한국엔 인재가 없다 [韓 ICT, 진짜 위기다下]
  • 신생아 특례대출, ‘연소득 2억’ 맞벌이 부부까지 확대… “결혼 페널티 해소”
  • 교통비 또 오른다?…빠듯한 주머니 채울 절약 팁 정리 [경제한줌]
  • 기본으로 돌아간 삼성전자…'기술-품질' 초격차 영광 찾는다
  • "비트코인 살 걸, 운동할 걸"…올해 가장 많이 한 후회는 [데이터클립]
  • 베일 벗은 선도지구에 주민 희비 갈렸다…추가 분담금·낮은 용적률이 ‘복병’[1기 선도지구]
  • [2024마켓리더대상] 위기 속 ‘투자 나침반’ 역할…다양한 부의 증식 기회 제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29,000
    • +3.75%
    • 이더리움
    • 5,105,000
    • +9.6%
    • 비트코인 캐시
    • 726,000
    • +5.29%
    • 리플
    • 2,050
    • +4.7%
    • 솔라나
    • 336,100
    • +4.25%
    • 에이다
    • 1,404
    • +5.25%
    • 이오스
    • 1,153
    • +3.97%
    • 트론
    • 280
    • +3.32%
    • 스텔라루멘
    • 669
    • +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850
    • +4.02%
    • 체인링크
    • 26,320
    • +8.54%
    • 샌드박스
    • 863
    • +1.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