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련 종목이 큰 폭으로 상승한 예는 수없이 많다. 몇 종목 예를 들면 지난해 4월 경남제약 주가는 레모나의 중국 수출 기대감에 여섯 차례나 가격제한폭까지 올랐고, 깨끗한나라의 경우 한 유통업체가 중국인들이 기저귀, 물티슈 등 국내 유아용품을 선호한다고 밝히자 사흘 연속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아모레퍼시픽,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등 화장품 관련주는 말할 것도 없이 가장 ‘핫’한 종목이었다.
하지만 당시 전문가들은 중국의 ‘규제 리스크’가 복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제품이 중국 소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유의미한 수준까지 올라가면 중국 당국이 견제구를 날리며 성장세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는 것.
최근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 제품이나 콘텐츠 보호를 위한 규제 방안을 잇달아 내놓는 탓이다. 여기에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하는 중국 정부가 한국 상품을 상대로 보복 조치를 하려는 움직임 역시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가장 타격이 큰 분야는 화장품이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국내시장이 포화상태인 화장품 기업들로선 양보할 수 없는 시장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화장품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오는 12월부터 화장품 성분 관련 규제를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다. 화장품을 제조할 때 사용할 수 없는 성분을 늘렸고, 화장품 사용 금지 물질을 판별하는 검사는 더욱 까다로워졌다.
또 내년 5월부터 중국 소비자들이 해외직구를 통해 수입하는 화장품에 대해서도 당국의 위생허가를 받도록 하는 등 화장품 수입과 관련한 규제가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 관영 중국중앙(CC)TV는 한국 마스크팩에 불량품이 많다는 내용의 고발 프로그램을 장시간 방영하기도 했다. 이에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잇츠스킨 등 화장품 관련 종목 주가는 최근 한 달 새 20% 이상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화장품 이외에도 중국 정부는 최근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해 3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고 삼성SDI와 LG화학의 배터리를 인증 대상에서 다시 탈락시킬 수 있다는 우려감도 나오고 있다.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 등 문화 콘텐츠에 대한 규제 역시 강화되는 추세다. 중국 전체 예능 프로그램 시청률 1위를 기록할 만큼 선풍적이 인기를 끌었던 중국판 런닝맨 ‘달려라 형제’는 최근 해당 프로그램의 시즌5 편성이 내년으로 미뤄졌다. 중국 정부의 한류 콘텐츠 수입규제 기조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정부는 최근 자국 전통문화 지키기를 위한 조치라며 외국 판권 구매 프로그램은 황금시간대의 방송 횟수를 제한했고, 외국 판권 구매를 기반으로 신규 방송하는 프로그램 숫자도 1개로 제한했다.
엔터 관련 종목들의 하락세도 이어지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코스닥 오락, 문화업종의 전체 시가총액은 6조7134억 원으로 지난 한 달간 시총 3756억 원이 증발했다.
국내 시장에 상장한 중국 회사들 역시 투자자들을 골탕먹이고 있다. 허위공시 파문을 일으킨 중국원양자원이 대표적이다. 한국거래소는 중국원양자원에 사상 최대의 제재금을 부과하는 등 강력한 징계를 내리면서 경고 메시지를 전달했지만, 투자자들은 2011년 1000억 원대 분식회계로 상장 두 달 만에 증시에서 퇴출된 ‘중국고섬 사태’의 악몽을 떠올리고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2007년 8월 3노드디지탈이 상장된 이후 지금까지 중국 기업 18개사가 국내 증시에 입성했지만 이 중 7곳이 상장폐지돼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송영록 기자 sy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