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9일 노후 산업단지 혁신을 위해 2020년까지 재정지원, 민간투자 유치를 포함해 모두 1조5000억 원(잠정)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산업단지는 1964년 구로수출산업공업단지(현재 서울디지털산업단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모두 1124개가 지정됐다.
산업단지는 제조업 생산의 70.9%, 수출의 79.7%, 고용의 47.9%를 담당하며 경제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지만, 점점 노후화되고 기반ㆍ지원 시설이 부족해져 청년층과 첨단기업을 끌어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13년부터 산업단지의 연구ㆍ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근로ㆍ정부환경을 개선하는 데 6000억 원을 투입했으며 이번에 추가로 1조50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우선 산ㆍ학ㆍ연 협력 강화로 젊고 활력 있는 산업단지를 만들기 위해 2020년까지 산학융합지구를 13개 산업단지로 확대한다.
산학융합지구는 산업단지 내 대학캠퍼스와 기업 연구소를 유치해 교수ㆍ학생이 참여하는 산ㆍ학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 취업을 연계한다.
산업단지 입주기업과 인근 대학, 연구소 간 연구개발(R&D)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산ㆍ학ㆍ연 R&D 협의체는 2018년까지 현행보다 15개 많은 100개를 운영할 방침이다.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인다.
2020년까지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을 100개소 선정하고, 근로건강센터와 산재예방시설도 각각 21개에서 40개, 27개에서 74개로 늘린다.
산업단지 인근에는 임대료가 저렴한 공공임대주택을 보급한다. 공급물량의 90%까지 산업단지 근로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년까지 모두 1만 호의 산업단지형 행복주택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정부의 자금을 마중물로 민간투자를 유치하는 '산업단지환경개선펀드'를 만들고 구조고도화 민간투자 사업을 벌이는 등 민간투자를 통해 복합편의시설을 확충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 합동으로 지난달 말까지 중소ㆍ중견기업 2611개 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불량률은 51.4% 감소했고, 원가 절감(-24.6%)이나 납기 단축(-11.8%) 등에서도 구체적인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누적 2700개 사, 2017년 말까지 4000개 사가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게 지원해 2020년까지 1만개 보급 목표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