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등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對美) 통상협의회를 출범하고, 정부와 민간, 연구기관이 손을 잡고 역량을 총결집한다고 23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경제단체, 주요 업종별 협회, 무역 지원기관, 민ㆍ관 연구기관 및 대미 통상전문가로 구성된 ‘대미 통상협의회’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트럼프 신 정부의 통상환경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대미 통상협의회는 현행 통상산업포럼 산하 대미 통상 분과회의를 확대 개편한 것으로, 통상 실무작업반 회의를 거쳐, 금일 출범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은 협상 당시 조화로운 상호 이익균형을 이뤘으며, 발효 이후 교역ㆍ투자 분야에서 호혜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 상호 번영의 틀”이라며 “한ㆍ미 FTA를 통해 양국간 경제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수입규제 강화 등 향후 대미 보호무역조치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미국 대선과정에서 제시된 인프라 투자, 자동차ㆍ철강 등 전통 제조업 육성, 에너지 개발 등 트럼프 신 정부의 역점 분야에서 새로운 경제협력의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트럼프 정부의 통상정책 방향이 보호무역 기조 심화, NAFTA 등 기체결 FTA의 재협상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고, 무역제재조치 대비, 환율문제에 대한 현명한 대처, 한미FTA의 이행문제 등에 대한 대응책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산업연구원(KIET)은 미 신 정부가 미국 중심주의와 경제적 실리주의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특히, 자동차, 전기전자, 일반기계 등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에 긍정적ㆍ부정적 측면이 병존하며 위험 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무역협회는 미국 신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1월 20일을 전후한 시기가 미국과의 양국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골든타임’임을 언급하며 특히, 주요 기업ㆍ입각 가능 재계 인사와의 네트워크 구축, 무역투자 사절단 파견 등 민간 차원의 대미 아웃리치 활동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주 장관은 “보호무역을 주장해 온 트럼프 후보의 당선으로 우리 수출과 통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은 사실이나, 이를 현명하게 극복하면 오히려 우리의 대외경쟁력을 한 단계 제고할 수 있는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미통상협의회를 중심으로 차분하고 흔들림 없이 대응해 나가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