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원자재 가격 급등 '비상'

입력 2007-10-15 12:00 수정 2007-10-15 14: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달새 3.5% 상승, 수출물가는 1% 상승 그쳐

최근 한달새 수입원자재 가격이 3.5%나 급등해 수입물가 상승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수입원자재 가격이 지난 9월 3.5%나 급등해 전년동월대비 8.6%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수입물가가 3.1% 상승한 반면, 수출은 1.1% 상승에 그쳤다. 특히 전년동월대비로는 수출이 2.1% 상승한 데 그친 반면, 수입은 7.4%나 상승해 큰 대조를 보였다.

수입원자재 중에는 기초원자재의 상승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기초원자재는 원유 및 국제농산물 가격상승과 니켈, 동 등 일부 비철금속 원자재가격 상승반전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여 전월대비 5.6% 상승했다.

특히, 농작물은 밀, 옥수수, 대두가 작황부진, 재고부족 등의 영향으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면서 상승세를 주도했다.

종이원료도 중국, 인도 수요증가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제지용펄프도 주생산지인 북미지역의 공급감소로 3.6%나 올랐다.

비철금속소재도 아연괴와 알루미늄괴는 내렸으나 금괴, 니켈, 동광석 등을 중심으로 2.3%나 올랐다.

중간원자재는 금속1차제품이 니켈 등 비철금속 국제시세 하락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내렸으나, 석유제품이 국제유가 급등으로 오름세를 보임에 따라 전월대비 0.6% 상승했다.

특히, 석유제품이 프로판가스, 부탄가스가 수요부진으로 내렸으나 나프타, 방카C유, 경유 등이 유가상승을 반영하여 3.3%나 올랐다.

또한, 자본재와 소비재는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자본재는 주로 엔화대비 원화약세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0.5% 상승했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0.8% 올랐다.

소비재는 휘발유, 과일, 쇠고기 등을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여 전월대비 1.2% 상승했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1.0% 하락했다.

한편, 지난 9월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농수산품이 공급증가로 0.3% 하락했으나 공산품은 국제유가 급등, 일부 화학제품의 생산설비 사고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를 보임에 따라 전월대비 1.1% 상승했다.

우선, 농수산품은 조개가 올랐으나 참치, 오징어, 굴이 공급증가 등의 영향으로 내려 전월대비 0.3% 하락했다.

반면, 공산품은 영상음향및통신장비제품이 D램을 중심으로 내렸으나 석유화학및고무제품이 국제유가 상승으로 비교적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면서 전월대비 1.1%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멕시코 이어 캐나다 25% 관세도 한 달 유예
  • 현대차 노조까지 확전 가능성…통상임금 소송전 본격화
  • [날씨] "따뜻하게 입고 나오세요"…아침 최저 기온 영하 18도 강추위
  • 제주 전역 '대설특보'…제주공항도 윈드시어 특보 발효
  • 시즌 마지막 경기…'최강야구' 대학 올스타 잠실 직관전 결과는?
  • '구준엽 아내' 서희원, 폐렴으로 별세…향년 48세
  • 이주은 치어리더 대만행, 계약금 4억?…그들을 막을 수 없는 이유 [해시태그]
  • 중국 ‘딥시크’, AI 성능은 인정받았지만…“그래서 데이터 유출 우려는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2.04 09: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8,747,000
    • +3.2%
    • 이더리움
    • 4,498,000
    • -0.35%
    • 비트코인 캐시
    • 556,500
    • -1.68%
    • 리플
    • 4,237
    • +5.32%
    • 솔라나
    • 338,300
    • +5.95%
    • 에이다
    • 1,273
    • +1.84%
    • 이오스
    • 1,020
    • +1.8%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580
    • +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550
    • +4.57%
    • 체인링크
    • 33,890
    • +6.34%
    • 샌드박스
    • 678
    • +5.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