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외환보유고 방어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 둔화로 자본유출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위안화 가치 급락을 막고자 환율 개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중국은 외환보유고 3조 달러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중국의 지난해 해외로의 자본 순유출이 약 3000억 달러(약 360조 원)로 전년보다 60% 급증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중국 경기 불확실성에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고, 이에 기업들이 외화 자산 확보 차원에서 해외 인수ㆍ합병(M&A)에 공격적으로 나선 영향이다. 또 M&A 등을 통해 수출기업들이 벌어들인 외화를 중국으로 들여오지 않고 해외에 보유한 것도 지난해 자본유출이 급증한 요인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전날 발표한 지난해 12월 외환보유고는 3조105억 달러로, 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간 끝에 지난 2011년 2월 이후 5년 10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외환보유고는 지난 2014년 6월 고점 이후 약 25% 줄었다.
중국은 지난 2005년 위안화 평가절상과 관리변동환율제 도입 이후 자금유입이 확대됐으며 외환보유고도 증가했다. 이에 중국 당국은 투기머니 유입과 위안화 강세를 어떻게 막을지가 가장 큰 과제가 됐다. 그러나 지난 2015년 8월 위안화의 급격한 평가 절하와 경제성장세 둔화 등으로 이제는 위안화 가치 하락과 자본유출에 대한 대응으로 당국에 요구되는 정책이 180도 바뀌게 됐다.
중국 정부는 연초 위안화 가치 하락을 막고자 달러화를 매도하고 위안화를 사들이는 환율 개입을 반복했다. 이에 외환보유고 3조 달러 선이 붕괴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또 지난해 11월부터 500만 달러 이상의 해외 송금과 환전, 해외 M&A에 대해 사전 심사에 착수하고 올해 1월부터는 은행들에 개인 외환 환전 시 용도를 자세하게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등 자본규제를 강화에 기업 활동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불안도 고조되고 있다.
왕서우원 중국 상무부 부부장은 지난 6일 기자회견에서 “단기 투기성 자본 유출입을 규제하려는 것일 뿐 법을 지키는 외자 기업에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규제가 장기화하면 중국이 외자를 유치하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