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는 기존 4당 체제에서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이 바른정당을 창당하면서 5당 체제가 됐다. 그러나 올해 대선을 앞두고 합종연횡이 예상된다. 특히 지지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후보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어디에 안착하느냐에 따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등은 연대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이 신당 창당 가능성을 밝히고 있어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될 경우 어떤 조합이 이뤄질 지 아직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섯 당, 대선후보 내느냐 못 내느냐=아직까지‘지지율 30%’를 돌파한 대선주자는 나오지 않고 있다. 이는 향후 정치권의 합종연횡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9일 리얼미터에 따르면 지난 2~4일 사흘간 전국 성인 15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율이 28.5%로 조사됐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은 20.4%로 나타났다.
비록 문 전 대표가 1위를 탈환했지만, 작년 말에는 반 전 총장이 1위를 차지해 두 후보가 엎치락뒤치락하는 만큼 누구 하나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유승민 의원 역시 대권 기회를 노리고 있다. 모든 대선 주자들이 확실한 승기를 잡기 위해서는 대선을 전후해 합종연횡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확실한 대선후보를 내는 당은 5당 체제의 복잡한 대선방정식을 쉽게 풀 전망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합종연횡의 무풍지대에 가깝다. 지지율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는 문 전 대표를 비롯해 다수의 대선 후보가 있기 때문이다. 정당 지지율도 40%에 달한다.
반면 새누리당은 현재 박근혜 대통령 탄핵과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지지율이 급전직하 했다. 당내 인적쇄신을 두고 갈등도 극에 달했다. 하지만 명확한 보수노선과 함께하는 지지층이 있어 합당을 시도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정의당 역시 확실한 진보 노선을 갖고 독자노선을 걸을 전망이다. 심상정 대표는 다음 주 출마 선언과 함께 대선 경쟁에 뛰어든다.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등 이른바 ‘제3·제4 지대론’을 표방하는 신생 정당들은 다양한 선택지를 놓고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들은 기존 친박(친박근혜)와 친문(친문재인)을 거부하고 뛰쳐나온 만큼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생명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결국 이들 정당의 앞날은 ‘누가 이길 수 있는 대선 후보를 품느냐’가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뉴 DJP연합과 반기문=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현재 문 전 대표에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대선 후보다. 반 전 총장은 귀국 직후 대권 행보보다는 당분간 여론을 관망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3일 “가급적 광범위한 사람, 그룹과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급한 쪽은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될 확률이 높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와 호남 중진의원들은 반 전 총장과 연대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연일 ‘빅텐트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른바 ‘뉴DJP연대론’이다. 하지만 주 원내대표는 10일 인터뷰에서 “(반 전 총장이) 여권 후보냐, 야권 후보냐를 확실히 입장을 밝혀야한다”며 “우리당과 함께 할 것인가는 정체성 검증이 끝나고 난 뒤에 해야 한다”며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반 전 총장을 잡아야 한다는 현실론과 당내 반발이 부딪힌 결과로 해석된다.
바른정당 역시 연대론을 언급하면서도 통일된 당론은 정하지 못하고 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10일 뉴DJP연대에 대해 “이번 기회가 오히려 협치와 타협의 정치로 나아가는 좋은 계기”라며 연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반 전 총장이) 거기에 가장 중심인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승민 의원은 “짧더라도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한다”며 ‘꽃가마’ 태울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사이에 정책 지향점이 다른 부분도 연대론을 어렵게 한다. 양당은 경제 정책 측면에서는 중도 개혁적 성향으로 법인세 인하, 재벌 개혁 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바른정당은 안보정책에서 정통보수주의를 표방하며 사드배치를 찬성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당은 사드 배치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상태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는 양당 모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최진 세한대 대외부총장은 대선 전 합당에 대해 “정치 공학적으로 이기기 위한 합당이 아닌 정치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고 국민을 위한 합리적인 연대가 이뤄져야 한다”며 “억지로 이뤄지는 구도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연대가)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대선은 경제 못지않게 외교·안보 이슈가 중요하게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정치 환경에서 안보관이 다른 당끼리 정책 차이를 뛰어넘어 정권교체를 위한 연대에 성공할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