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는 앞서 지난달 신 회장을 비롯해 주요 임원들이 참석한 회의에서 ‘정책본부 개편안’을 제안했다. 개편안의 핵심은 94개에 달하는 그룹 계열사를 유통, 화학, 식품, 호텔·서비스 등 4개 사업군으로 나누고, 정책본부는 이를 관리하고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다.
증권업계가 내다보는 시나리오도 맥킨지의 개편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증권업계는 지배구조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호텔롯데가 지주회사 역할을 하게 되고 롯데쇼핑(유통), 롯데케미칼(화학), 롯데제과(음식료)가 중간 지주 형태로 설립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문제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체제 전환 비용의 감소와 순환출자 고리 해소와 핵심 계열사에 대한 호텔롯데의 지배력 강화다. 증권업계는 신 회장이 호텔롯데 상장으로 마련한 재원을 핵심 계열사 지분 매입에 전량 사용할 가능성이 작다는 점에서 비상장사의 합병과 계열사 간 지분 교환, 일부 비상장사의 상장 등의 순서를 밟을 것으로 관측한다.
또 현재 남아있는 67개 순환출자 고리 중 54개 고리가 ‘호텔롯데-롯데알미늄-롯데제과-롯데쇼핑-롯데상사-한국후지필름-롯데쇼핑’으로 이어진다는 측면에서 이번에 지주회사 전환을 공시한 롯데쇼핑과 롯데제과, 롯데칠성, 롯데푸드 등이 투자회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하고서 투자회사를 합병해 순환출자 고리를 해소하는 동시에 합병회사에 대해 신 회장이 지배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한국롯데의 지주회사격인 호텔롯데와 롯데쇼핑 중 먼저 롯데쇼핑 투자지분이 주축이 된 중간지주회사에 대해 신 회장의 지배력을 확대하는 것이다.
한편 롯데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인 호텔롯데의 상장까지는 상당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호텔롯데 상장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면세점 특혜 의혹과 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한 특검 조사가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의 기각으로 특검이 롯데에 대한 수사 강도를 높일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거기다 야권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서도 롯데의 면세 특허권 취득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특허권 반납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면 호텔롯데의 상장 시 기업가치가 크게 내려가 지배구조 개편에 일부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