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병역면제 논란에 “아픈데 군대가서 죽으라는 거냐”

입력 2017-02-10 18: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정부질문서 野 잇단 공세…黃 “아파서 못 간 것이 죄라면 안타까운 말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10일 자신의 병역면제 논란에 대해 “안 간 게 아니라 아파서 못 갔다”고 해명했다.

이날 국회에서 진행된 대정부질문(비경제분야)에서 국민의당 이상돈 의원은 “이명박 정권은 이른바 병역 면제 정권이다. 그런 비아냥을 들어보신 적 있냐”고 물었다.

이에 황 권한대행은 “제 이야기 말하는 것 같은데 바로 말씀해달라”고 했다. 이 의원은 “국가안보를 강조하는 보수 정권의 대통령 본인(이명박 전 대통령), 또 국무총리가 다 군대를 안 갔느냐. 참 한심하고 의문”이라고 물었다. 그러자 황 권한대행은 “제가 안간것이 아니라 아파서 못 간 것이다”라며 “아파서 못 간 게 죄라고 하면 정말로 안타까운 말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못 간 부분에 관해서 부담감을 가지고 나라를 위해 다른 분들보다 더 헌신하려 애를 썼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의원은 “총리에 대해 말하기보다 이명박 정권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라며 “이명박 정권이 유독 이게 심했다”고 말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자 황 권한대행은 "그런 분들이 군대 갈 때는 병역 사원이 굉장히 많아서 군대를 못 가는 사람이 많았다"며 "지금 말씀하신 그런 분들이 비리와 부정으로 군대를 면탈 했는가 이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날 병역면제 논란에 대해서도 이례적으로 강한 어조로 대응한 황 대행은 “아파서 군대에 못간 것이고, 그게 죄라면 안타까운 일”이라며 “나라를 위해, 헌신하기 위해 다른 분보다 좀 더 많은 노력을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의원은 “총리에 대해 말을 하려던 게 아니라 유독 병역 면제자가 많았던 보수 정권에 대해 지적한 것”이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은 기관지 등으로 군대에 안갔고 정운찬 전 총리는 신검 연기로 병역을 면제 받은 것이 우연치고는 너무 심하다. 그래서 보수정권이 신뢰를 잃어버린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그러자 황 권한대행은 “당시에는 병력 자원이 많아서 못 가는 사람도 참 많았다”며 “그분들이 아파서 못 갔는데 그럼 ‘군대에 가서 죽어라’라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황 권한대행은 대학 재학 시절 3년간 징병 검사를 연기한 후 1980년 징병 검사에서 ‘만성 담마진’으로 군 면제인 제2국민역 판정을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614,000
    • -0.32%
    • 이더리움
    • 4,228,000
    • +4.29%
    • 비트코인 캐시
    • 502,000
    • +0.62%
    • 리플
    • 4,091
    • -0.2%
    • 솔라나
    • 278,500
    • -2.86%
    • 에이다
    • 1,239
    • +7.09%
    • 이오스
    • 980
    • +2.62%
    • 트론
    • 369
    • +1.37%
    • 스텔라루멘
    • 520
    • +0.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500
    • +1.42%
    • 체인링크
    • 29,590
    • +4.23%
    • 샌드박스
    • 616
    • +4.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