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불여학(不如學)

입력 2017-02-28 10: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가 일상으로 사용하는 한자어 중에 ‘불여(不如)’라는 말이 있다.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뜻의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이 바로 그런 예이다. ‘不如’는 앞의 것이 뒤의 것보다 못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공자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 “종일불식, 종야불침, 이사무익, 불여학야(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無益, 不如學也)” 풀이하자면, “종일토록 밥도 먹지 않고, 밤새도록 잠도 자지 않으면서 생각해봐도 이로울 게 없고 배우는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이다. 머리에 든 것이 없이 빈 머리로 생각하는 것처럼 무모하고 비효율적인 것도 없다. 정보를 전혀 갖지 않은 채 밥도 거르고 잠도 설치면서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본들 신통한 생각이 나올 리 만무하다. 사람의 사고는 머리에 들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송나라의 학자로서 성리학을 완성한 주희(朱熹=朱子)는 지식의 힘을 강물에 비유하여 “어젯밤 강가에 봄비가 내려, 강에 물이 채워지자 큰 배도 터럭만큼이나 가볍게 떠가게 되었네[昨夜江邊春水生 蒙?巨艦一毛輕]”라고 표현하였다. 물이 빠진 강바닥의 진흙 위에서 배를 끌어올린다고 가정해보라. 얼마나 많은 힘이 들겠는가? 그러나, 비가 흠뻑 내려 강에 물이 차오르기만 하면 배는 솜털마냥 가볍게 떠서 자유자재로 물 위를 오갈 수 있다.

물은 배가 배의 역할을 하게 하는 기본 조건이요, 독서는 사람이 사람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본 조건이다. 배우지 않고 빈 머리로 살아가는 인생은 땅바닥에서 배를 끌고 가는 것만큼이나 고달프고 처참하다.

그래서 공자도 ‘불여학(不如學)’, 즉 ‘배움만 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쓸데없는 오락프로그램으로 허송세월하지 말고 깊이 있는 책 한 권이라도 읽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독서하기 좋다는 겨울의 끝자락에서.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불황에 날개 단 SPA 패션…탑텐·유니클로 ‘1조 클럽’ 예약
  • 치솟는 환율에 수입물가 불안...소비자물가 다시 뛰나
  • '잘하는 것 잘하는' 건설업계…노후 주거환경 개선 앞장
  • SK온, ‘국내 생산’ 수산화리튬 수급…원소재 경쟁력 강화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위해제품 속출' 해외직구…소비자 주의사항은?
  • “한국서 느끼는 유럽 정취” 롯데 초대형 크리스마스마켓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385,000
    • +0.03%
    • 이더리움
    • 4,760,000
    • +3.46%
    • 비트코인 캐시
    • 725,500
    • -2.36%
    • 리플
    • 2,065
    • -2.87%
    • 솔라나
    • 358,800
    • +1.93%
    • 에이다
    • 1,506
    • +1.89%
    • 이오스
    • 1,122
    • +5.65%
    • 트론
    • 298
    • +4.56%
    • 스텔라루멘
    • 809
    • +38.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8,600
    • -0.05%
    • 체인링크
    • 25,000
    • +9.31%
    • 샌드박스
    • 674
    • +29.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