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에 이어 LG유플러스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창출 핵심공약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동참한다. 이르면 다음달 위탁계약을 맺은 협력업체들이 개인사업자 형태로 일해온 인터넷 설치·수리 기사들을 정규직으로 고용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23일“사장단 협의회와 노사간 협의를 마무리하고 다음달 중에 하도급 계약을 맺은 인터넷 설치·수리 기사들 1000여 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며 “현재 구체적인 방법과 보상책에 대해 막바지 논의에 한창이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통신 사업자들은 상품 판매 및 설치 AS 등 서비스를 유지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간접 고용방식이 관행처럼 이어져 왔다. 이 과정에서 본사의 지침을 강요받고 따르지만 정규직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대우와 성과 중심의 실적압박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왔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 도급 기사들에게 케이블TV·인터넷·집 전화를 설치하고 수리하는 업무를 시키는 것은 정보통신공사업법 위반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정보통신공사업법은 정보통신설비의 설치·유지 사업자는 1억5000만 원 이상의 자본금과 사무실을 보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개인사업자로 등록해 도급계약을 체결하는 설치·수리 기사들 대부분은 이런 조건과 맞지 않는다.
전날 SK브로드밴드는 홈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재 초고속인터넷 및 IPTV 설치·AS 관련 위탁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103개 홈센터 직원 5200명을 자회사의 정규직으로 직접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SK브로드밴드는 이를 위해 다음달 초 자본금 460억 원 규모의 자회사를 100% 지분 투자를 통해 설립할 계획이다.
하지만 벌써부터 협력업체 폐업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협력업체는 지역 중소기업이다 보니 통신사가 직원을 정규직으로 고용하게 될 경우 협력업체들은 회사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규직 전환의 성공 여부는 임금과 복지 등 노동조건 개선이 전제”라면서 “특히 각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문성을 갖고 사업체를 꾸려온 대리점주들은 사업권을 잃는 것과 마찬가지인 만큼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