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과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책 공조를 확대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이 신(新)성장산업 영위 창업 초기기업과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해 향후 5년간 1조 원 규모의 보증료를 지원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금융지원 협약은행도 종전의 신한은행 한 곳에서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추가되면서 현재 3곳까지 늘어난 상태다.
기업은행은 14일부터 일자리 창출 효과가 뛰어난 고용창출 우수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보증에 나선다. 기업은행이 신보에 200억 원을 출연하고, 신보는 출연금을 바탕으로 총 1조2000억 원의 보증서를 발급해 기업은행에서 담보대출을 받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올 한해 58조5000억 원의 정책금융자금을 배정받은 기업은행과 45조7000억 원이 책정된 신보가 손을 맞잡았다. 총 186조7000억 원으로 편성된 정책금융 중 기업은행과 신보가 공급할 자금은 KDB산업은행(62조5000억 원) 다음으로 많다. 나머지 20조 원은 기술보증기금이 맡는다.
기업은행은 신보에 100억 원을 특별출연하고, 신보는 특별출연금의 20배에 해당하는 2000억 원의 협약보증을 공급한다. 또 기업은행의 보증료 지원금 100억 원을 기반으로 보증료를 연간 0.2%포인트씩 5년간 1.0%포인트 지원하는데, 이를 통한 보증료 지원총액은 1조 원이다.
신보도 우수 창업기업에 보증비율을 최대 100%까지 우대하고 보증요율을 연 0.3%포인트씩 5년 동안 1.5%포인트 차감해, 대출받은 기업의 경우 기업은행과 신보 양쪽에서 연 0.5%포인트씩 최대 2.5%포인트의 보증료를 감면받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특히 기업은행은 거래기여도에 따라 대출금리를 최고 1.3%포인트까지 낮출 예정이다. 아울러 기업은행은 일자리창출 기업이 정규직 직원을 신규 채용해 6개월 이상 고용하면, 1인당 50만 원 한도로 채용기업이 납부한 대출이자와 외환취급수수료 등 금융비용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신보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연간 20만2050개의 기업이 보유한 신용보증 잔액은 42조1535억 원에 이른다. 지난 2010년 말 신용보증 잔액 38조7810억 원과 비교하면 7년 사이에 약 8.7%(3조3725억 원) 증가했다.
이 기간 신용보증잔액 보유 기업의 일자리 수는 2010년 업체당 평균 5.4명에서 지난해에는 7.3명으로 1.9명(35.19%) 늘어났다. 투입된 재원 대비 일자리 증대 효과가 4배에 달해 정책금융기관의 신용보증 확대가 일자리 창출에 효율적인 정책임이 나타났다.
신보의 신용보증을 이용하는 기업의 총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작년 말 기준 148만 개로 집계됐다. 1990년부터 신보의 보증지원을 받은 후 코스피·코스닥·코넥스에 상장한 중소기업도 736곳이다.
신보 관계자는 “최근 7년간 상장기업 중 30%가량이 신보의 보증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어 신보의 보증지원이 창업 이후 데스밸리를 극복하고 본격적인 성장을 해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해온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신보는 새 정부의 친환경 미래에너지 발굴 정책에 발맞춰 에너지신산업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에너지신산업 영위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도 강화한다.
올해 2월 정책금융기관 최초로 한국에너지공단 및 신한은행과 에너지저장장치 금융지원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8일에는 국민은행·우리은행과도 업무협약을 맺어 에너지저장장치 금융지원 협약은행을 3곳으로 확대했다.
에너지저장장치란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 등 저장장치에 충전했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전력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다.
에너지저장장치 금융지원 업무협약에 따라 에너지공단이 사업성 등을 평가해 ESS 수요 및 공급 기업을 추천하면, 신보는 해당 기업을 대상으로 대출금액의 90%까지 보증비율을 늘리고 0.2%포인트의 보증요율을 차감해준다. 협약은행은 특별출연을 통해 사업자가 부담하는 보증료의 연 0.2%를 3년간 지원하며, 대출금리를 최대 1.0% 우대해 ESS 수요·공급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