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 이하 자녀를 둔 우리나라 부부 10쌍 중 3쌍만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 맞벌이 비율의 절반 수준이다. 남성 가사 분담률은 OECD 국가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OECD 통계와 한국노동패널조사를 활용한 '자녀를 둔 부모의 고용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만 0∼14세 자녀를 둔 한국 부모의 맞벌이 비율은 29.4%에 불과했다. OECD 평균은 58.5%였다.
우리나라는 외벌이(46.5%) 부부가 가장 많았고, ‘모두 전일제(20.6%)’, ‘전일제+시간제(8.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OECD 국가는 부모 모두 전일제(41.9%)가 가장 많았고, 이어 ‘외벌이(30.8%)’, ‘전일제+시간제(16.6%)’ 순이었다.
고용부는 한국의 맞벌이 비중이 낮은 것은 남성의 가사분담률이 낮고, 장시간 근로로 일과 생활의 불균형을 보이는 것이 주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남성의 가사분담률은 16.5%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었다. 일본 17.1%보다도 낮았다.OECD 국가 남성 가사 분담률은 평균 33%.6였다. 특히 하루 평균 가사노동 시간은 불과 45분으로 조사됐다.
주 50시간 이상 일하는 장시간 근로자 비율은 전체 근로자의 23.1%에 달해 OECD 평균(13.0%) 보다 10.1% 포인트 높았다. 여가시간은 14.7시간으로 OECD 평균(14.9시간)보다 0.2시간 짧았다.
김경선 청년여성정책관은 “우리나라의 일하는 환경이 여성친화적이지 않아 남성 외벌이 비중이 높은 게 현실”이라며 “일하는 엄마가 늘어나기 위해서는 아빠의 적극적인 집안일 참여와 더불어 장시간의 경직된 근로 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