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설현장 사망자 184명… 전년比 20.3% 증가

입력 2017-07-04 13: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수가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시공능력평가액 1000위 이내 건설업체와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2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지난해 산업재해 조사결과를 4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건설업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3837명으로 전년대비 369명(10.6%) 증가했고, 사망자수도 184명으로 전년대비 31명(20.3%) 늘어났다.

이들 기업의 평균 환산재해율은 0.57%로 전년도(0.51%)보다 0.06%포인트 높았다. 2012년 0.43%, 2013년 0.46%, 2014년 0.45% 등 최근 5년간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환산 재해율은 사망 사고에 대해서는 일반 재해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원청뿐 아니라 하청업체 재해까지 포함해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 비율을 산정한 것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낮을수록 환산 재해율이 높았다.

1군(1∼100위) 기업은 0.34%를 기록했으나 2군(101∼300위) 0.88%, 3군(301∼600위) 1.40%, 4군(601∼1000위) 1.85%로 순위가 내려갈 수록 재해율이 올라갔다.

고용부는 환산재해율이 높은 요진건설산업, 극동건설, 동원개발, 서희건설 등 99곳을 대상으로 정기감독을 실시하고, 615개사에 대해서는 공공 건설공사 입찰 평가 시 감점 등 불이익을 주기로 했다.

이와 함께 50대 대형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주의 안전보건교육 참여 실적, 안전관리자 정규직 비율 등을 따져 산출한 산업재해예방활동 점수(100점 만점)를 보면 호반건설(40점), 대우건설(50점), 삼성물산(54.5점), 현대엔지니어링(54.4점)이 저조했다.

한편 지난해 공공기관이 발주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자수는 1006명으로 전년 대비 34명(3.3%) 감소했고, 사망자수도 40명으로 전년 대비 7명(14.9%) 줄었다.

조사대상 공공기관 가운데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주택도시보증공사, 가장 높은 기관은 한국철도공사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산재 발생 감소 및 예방을 위해 건설현장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날부로, 한국의 모든 세대가 계엄령을 겪었다" [이슈크래커]
  • 5일 철도노조 총파업 예고…수도권전철 평시대비 75%ㆍKTX 67% 운행
  • “형식·절차 무시한 비상계엄, 尹 탄핵사유 명확”…‘내란죄’ 성립 가능성도
  • ‘계엄령 후폭풍’ 뭉치는 야권…탄핵·내란죄 고발 압박
  • 의료보건부터 회계·코딩까지…"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국비 지원 받으세요" [경제한줌]
  • 헌재 정상화 시급해졌다…‘6인 재판관’ 체제론 탄핵 심판 부담
  • 한밤 난데없는 비상계엄...그날 용산에선 무슨 일이
  • [종합]발걸음 무거운 출근길...계엄령에 파업까지 민심도 뒤숭숭
  • 오늘의 상승종목

  • 12.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30,000
    • +2.21%
    • 이더리움
    • 5,391,000
    • +8.73%
    • 비트코인 캐시
    • 796,000
    • +7.06%
    • 리플
    • 3,414
    • -2.32%
    • 솔라나
    • 325,700
    • +3.79%
    • 에이다
    • 1,670
    • +1.95%
    • 이오스
    • 1,882
    • +26.05%
    • 트론
    • 481
    • +25.59%
    • 스텔라루멘
    • 705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111,600
    • +12.05%
    • 체인링크
    • 35,280
    • +5.47%
    • 샌드박스
    • 1,462
    • +4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