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수소에너지…獨 함부르크, 인프라 구축됐지만 소비자 반응은 ‘썰렁’

입력 2017-07-05 17: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독일 제2 도시 함부르크. 이번주(7~8일)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개최 도시인 함부르크는 수소 에너지 인프라 구축으로도 청정에너지 업계의 주목을 한몸에 받고 있다. 도시 곳곳에서 수소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주요소가 설치된 것은 물론 수소를 동력으로 한 버스도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높은 운용비용과 함께 전기자동차의 급부상, 수소에너지 안전성을 둘러싼 오해 등으로 보급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독일 정부는 지난 10년간 로열더치셸, 다임러 등과 함께 14억 유로를 투자해 수소차 개발과 보급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스웨덴 전력회사 바텐폴도 지난 2012년 함부르크에 600만 유로를 투입해 수소 에너지 충전소를 건설했다. 이 지역의 수소 동력 차량과 버스가 늘어나면서 충전소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독일 정부나 바텐폴의 수소 에너지 투자는 현재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독일에는 현재 수소차가 260대, 수소연료 전지로 구동되는 버스는 16대에 그친다. 반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는 5만5000대에 달한다.

NYT는 함부르크의 수소 에너지 보급 상황은 청정에너지의 현주소와 당면과제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수소에너지는 여러 면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동력보다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번 충전했을 때 수명 시간이 길고, 또 배터리보다 빨리 충전된다. 이 때문에 한때 전기차가 수소차에 비해 발전 가능성이 작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 리튬배터리 성능이 크게 개선되면서 주행거리가 대폭 늘어난 반면, 수소 에너지의 경우 일부 안전 우려 때문에 보급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수소에너지 가격이 전기에너지의 두 배에 달하는 점도 보급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하지만 독일 정부는 앞으로 수소 에너지 기술 개발 투자를 계속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파리기후변화 협정에서 탈퇴하는 등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리더십을 포기하면서 독일이 청정에너지 보급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기 때문. 독일 정부는 수소에너지 개발을 통해 대기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청정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관련 산업이 발달해 일자리 창출을 노리고 있다. 독일 정부의 이러한 노력이 아직 결실을 보기까지는 갈 길이 멀지만, 수소 동력으로 하는 통근 열차 등 서서히 결실이 나타나고 있다고 NYT는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강철원 사육사, 푸바오 만나러 중국행…팬 카메라에 포착
  • '나솔사계' 20기 정숙♥영호, 이별 후 재회…"새벽 4시까지 기다려, 35조항 납득"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채상병 특검법’ 野주도 본회의 통과...22대 국회 개원식 무산
  • 허웅 전 여친, 유흥업소 출신 의혹에 "작작해라"…직접 공개한 청담 아파트 등기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518,000
    • -3.49%
    • 이더리움
    • 4,427,000
    • -5.43%
    • 비트코인 캐시
    • 481,400
    • -9%
    • 리플
    • 628
    • -5.28%
    • 솔라나
    • 186,500
    • -6.61%
    • 에이다
    • 526
    • -8.68%
    • 이오스
    • 724
    • -9.05%
    • 트론
    • 182
    • +0%
    • 스텔라루멘
    • 126
    • -2.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100
    • -12.01%
    • 체인링크
    • 18,260
    • -5.83%
    • 샌드박스
    • 406
    • -9.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