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휘발유와 경유 자동차를 퇴출시키고 전기자동차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아직도 글로벌 석유 소비의 대부분을 자동차와 선박 등 수송 부문이 차지하고 있지만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 대책으로 ‘탈(脫) 석유’가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어 자동차 업체들은 물론 각국 정부도 전력 확보를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졌다고 27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분석했다.
영국 정부는 전날 오는 2040년까지 휘발유와 경유 차량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는 방침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이는 이달 초 같은 조치를 발표한 프랑스에 합류한 것이다. 영국은 또 지방자치단체들의 배기가스 억제책을 지원하기 위해 2억5500만 파운드(약 3723억 원)의 예산을 마련하고 대기오염 대책에 총 30억 파운드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는 환경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차량에 대해 환경세를 부과하거나 아예 운행을 금지하는 조치도 추진된다.
유럽은 그동안 연비가 좋은 경유 차량 이용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들 차량에서 배출하는 질소산화물이 대기오염을 심각하게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다. 영국 정부는 매년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4만 명에 이른다고 추정하고 있다. 독일 폴크스바겐의 디젤 엔진 배기가스 시스템 조작 스캔들은 휘발유와 경유 차량 전면 금지 움직임을 부추겼다고 신문은 전했다.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에서도 오는 2025년부터 휘발유와 경유 차량 판매를 금지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자동차 강국 독일은 지난해 가을 2030년까지 휘발유 차량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의회에서 채택됐다. 결국 최종 법제화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탈 휘발유·경유’ 트렌드는 이미 대세가 됐다.
전기차를 전면에 내세우려는 움직임은 유럽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인도 정부는 올해 4월 오는 2030년까지 판매하는 차량 전부를 전기차로 하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표명했다. 중국은 내년에 완성차 업체들이 일정 비율 이상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하도록 의무화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30년에 신차 판매에서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비율을 50~70%로 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이에 자동차업체들도 각국의 정책에 맞춰 전기차 개발에 올인하고 있다. 일본 최대 자동차업체 도요타는 최근 2020년 전기차 양산이라는 새 목표를 제시했다. 스웨덴 볼보는 더 나아가 2019년부터는 휘발유와 경유 신차를 생산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다만 이런 전기차로의 전환이 이뤄지려면 전력 공급량 확대가 관건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난달 발표한 에너지 백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글로벌 석유 수요 중 자동차와 선박 등 수송 부문은 65% 비중을 차지했다. 일본은 모든 승용차가 전기차로 대체되면 단순 계산으로도 소비 전력량이 10% 늘어나게 된다고 신문은 분석했다.